발로 뛰며 알아봐도 복잡했는데,
세이프홈즈는 한눈에 딱 정리해주더라고요
2024년 7월 6일 매도계약 완료 ( 잔금은 2025년 2월 28일). 매수인이 현 물건에 전세임대를 놓으려했으나 아직까지 못 구한 상황이라서 잔금 불이행이 우려되는 상황입니다. ( 계약금 10%, 중도금 2회 받음, 매매가의 약 39%) 부동산측에 연락을 하니 5%정도의 이자를 받고서 세입자를 구할때까지 이해를 해달라고 하는 입장입니다. 저는 일정금액의 추가 중도금 및 5%이자를 한달정도받으면서 유예를 하면서 그 이후로는 잔금 완료시까지 법정최고이자 20%를 받던지 계약해지를 요청할까 합니다. 이렇게 진행해도 되는지 문의드립니다.
거주하고 있는 집 옆에 아파트 공사를 하고 있는데 소음이 정말 스트레스 받을 정도로 심합니다. 공항 근처에 거주하는 사람들은 지원금을 받는다고 하는데, 이런 경우에는 뭐 조치하거나 지원 받을 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제가 24년 12월 까지 원룸에 살다가 다른 곳으로 이사를 왔는데 24년 월세 세액공제 받을 수 있나요? 주소이전은 한 상태입니다.
22년 8월부터 월셋집에 들어가 살기 시작했고, 24년 4월에 입사를 해서 근로소득이 잡히는 상태입니다 매달 월세가 28만원인데 그럼 4월분부터 12월달까지의 월세에 대한 환급금을 연말정산 때 회사에 서류를 제출하면 받을 수 있는 걸까요? 그 전에는 근로소득이 잡히지 않으니 월세 환급이 되지 않는 건가요?
상가, 아파트(공시지가12억이하) 모두 부부공동명의(5:5) 상가 사업자이고 월세와 아파트 월세 종합소득세 신고시 합산되는지 궁금합니다.
제가 신용불량자라 집월세계약을 아버지이름으로 하고 월급도 아버지 앞으로 받아서 자동으로 아버지통장에서 월세가 나가겠끔 설정해두었습니다 그러나 연말정산을 생각하니 한달에 38만원 1년하면 4,560,000원에 대한 세액공제를 못받는거에 대해서 조금 아깝다는 생각이 드는데 아버지는 연세도 많고 일용직으로 일하시는분이라 그동안 연말정산이라는걸 해보지않으신분이라서 제 앞으로 세액공제 받을수있는 방법없나요? 아니면 아버지 앞으로 받을수있는 방법이 있나요?
LH거주중인데 3개월이상 월세 미납되서 집주인분께서 LH에 내용증명 보냈는데 그럼 제가 새로 이사갈 때에 LH 재계약은 못하는건가요..? LH에서도 자격 박탈 당하는건가요? 3개월이상 월세 밀린거 집주인분이 계약 날짜가 다와갈때 LH에 알렸는데 따로 책임이 간다는 말이 자세하게 집주인분께 불이익이 가는건지 궁금합니다 ㅠ
전세 계약기간이 끝났는데요 집이 나가야 돈을 줄수 있대요 근데 저희집이 여러 사정(층간소음,학군문제)으로 이사를 가야하는데 집이 안나가요 ㅠㅠ 이경우에 집주인한테 권리 행세를 할수있나요? 할수있다면 어떻게하나요 ㅠㅠ급해요
미등기 신축아파트 전세계약을 진행하려합니다 계약일 25/1/25 (토요일) -계약서 작성 및 계약금 입금 -임대인분의 업무상 평일 주간에 시간내기 어려움 확정일자 및 전입신고일 25/1/31 위와같이 진행하려 하는데 괜찮을까요?
안녕하세요 바로 본론부터 말씀 드릴께요 2021년 12월 5일 빌라를 1.3억주고 전세를 계약했습니다 불안해서 전세권설정 걸구 계약을 했죠 하지만 23년 말쯤에 임대인이 세금을 내지 못해 세무서에 이 건물이 압류당해 최근까지 공매로 계속 올라오다가 제목과 같게 공매 가격이 너무 낮아져서 그런지 압류재산 매각 대행 취소가 되었다고 캠코에서 안내가 왔습니다 지금 현 상황에 어떻게 해야하는지...경매를 억지로 열어서 이집을 사서 팔던지 아니면 전세보증금반환소송을 해야하는지 궁금합니다 그냥 붕 떠 있는 상황이네요...답변 부탁드립니다 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