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로 뛰며 알아봐도 복잡했는데,
세이프홈즈는 한눈에 딱 정리해주더라고요
등기부등본발급하면 현재 거주중인 세대원도 확인이 가능한가요?
전세세입자입니다 2014년 5월부터현재까지 동일한 아파트에 임대인으로 거주중입니다 그 사이 전세보증금도 수회 증액도 있었구요이후 23.1.15일 전세보증금 인상과함께 계약서를 작성(순수계약금 인상만)하고 현재까지 거주중입니다저는 25.1.15일 전세만기인데 전세계약갱신요구권을 행사할 수 있는지요, 또한 5%의 증액은 계약시현재 전세시세보다 높게 계약되어도 임차인의 요구시에는 증액분으로 계약해야 되는지 고견을 꼭부탁드립니다
다가구 원룸의 전세계약이 기준- 2012년도에 51,500,000원에 매매된 기록있음 (토지 및 건물, 등기부등본 상 명의 동일)* 개별공시지가로 계산하면 토지 174,192,900원 / 개별주택가격으로는 주택 330,000,000원- 2017년도에 A사 1억 9천의 근저당 설정 -> 2024년도에 채권고액 1억 2천만으로 변경계약 - 2022년도에 A사 2천만의 근저당 설정- 입주해 있는 세대가 있으나 보증금 및 월세 등 정보가 아직 불확실 자료 요청 예정(3층에는 집주인 거주)- 보증금 45,000,000으로 들어갈 예정- 해당 호실에는 임차인이 있으며 제가 들어간다고 하면 제 보증금을 받고 나가신다고 합니다.질문1. 위의 기준에서 소액임차인으로서 최우선변제권의 날짜는 2017년인지 아님 2022년도인지...?2. 근저당 문제로 집이 경매로 넘어갈 경우 집주인이 거주해 있는 3층은 산정에서 제외되는지?3. 추후 확정일자부여현황 자료로 선순위채권+세입자들 보증금/대충 5억(매매가격?)*100 = 50~60% 정도 된다면 보증보험을 들지 못하더라도 안전한 매물일까요?
친구가 많은 동네가 좋을 것 같은뎅 전 다들 어디에 하셧나요 ?-?
아파트매매 계약금 걸면 부동산에서매물거두나요? 나머지 다른부동산들은 매매된줄 어떻게알고 내리죠?
현제 월세로 거주중이며 전세로 전환하여 재계약하려고 합니다. 현재 여기 소유자가 신탁 주식회사라 집주인이 개인명의로 전환하는 동안 월세없이 무료로 거주할 수 있도록 이행각서를 써주었어요. 넉넉하게 4개월동안 무료거주하라고 하네요. 임대인이 임차인에게 임대료도 받지 않고 4개월 무료거주라니… 그래서 임대료 없이 보증금만 증액해서 (전세가 2억 5천임) 보증금 5천만원에 월세 0원으로 월세연장계약서 작성했어요. 4개월 후 개인 명의로 전환 시 그때 전세계약서 작성하기로 했고여…그동안의 아무일이 없어야 할텐데 말이에요…
임대인에게는 임차인이 목적물을 임차목적에 맞게 사용하게 할 수 있게 해줄 수선의무가 있는데, 이사한지 5일 청소중에 물떨어짐1억6천에 월세20+관리비10베란다 물떨어지길래 관리소장에게 수선요청드리니,임대인 연락안된다3일 후 닥달하니 임대인전화받았고,베란다사용 안했으면 좋겠다 했답니다 ㅋㅋ 제 전화는 일절 안받구요+ 구옥이라 싹다 베란다 문들이있는데 열지도 못하고 안잠기는 문도 있습니다. 2층인데, 방범도없어서사실 좀 불안하기도하고요.. 이것도 수선요구 가능한가요?일단 임대인한테 연락남겼어요.매달관리비에서 불편부분 삭감을 해주거나제가 선 수선하고 월세에서 차감하겠다고.만약 매달 관리비에서 불편부분 삭감해준다면 얼마정도 빼야하나요?베란다 대략 1-1.5평정도 됩니다. 총 15평이고요베란다문같은경우는 어떻게 요청해야하나요? 만약, 계속 연락두절할 경우 내용증명 및 계약해지 바로 진행할 수있나요?가뜩이나 더러운집골라 기분더러운상황에 입주전부터 장판문제로 연락느리게답하고 전화도 안받습니다. 잔금날에 선월세 안들어왓다고 닥달하는인간임;; 보증보험및 중개수수료도 가뜩이나 비싼데 이것도 요구가능?임대인 계약해지 어떤식으로 진행해야하요?
안녕하세요 중기청 연장에 대해서 질문이 있는데요일단 저는 중기청 100%집에 살고 있습니다.전세계약서에 2022년 7월17일에 입주를 하고 2024년 7월 17일까지라 되어 있는데중소기업 취업청년 버팀목 전세자금대출 만기일이 8월 14일이라 되어있습니다.중기청 연장이 만기일 한달전에 신청이 가능한걸로 알고 있고 만기일 일주일 전까지 서류 제출하는 걸로 알고 있습니다.질문입니다.1. 2024년 7월 17일 이후부터 8월 14일까지 그냥 살아도 상관이 없는건가요?2. 제가 이번에 이직하게 되어 2024년 7월 9일부터 근무를 하게 됩니다.중기청 서류를 제출을 해야되는데 이직하고나서 다음달 15일에 고용보험자격이력내역서(근로자용), 건강보험자격득실확인서가 최신화되는걸로 알고있습니다 그러면 새로운 직장 주업종코드, 사업장등록증 제출하면 굳이 최신본은 필요가 없는건가요?
6월 전세 계약을 하고 입주를 한 상태입니다. 허그 전세보증보험을 들려고 하다가2년 갱신 청구권을 쓸 생각이거든요. 이 집에서 최소 4년을 살 생각인데그럼 재계약 한 후에 가입하는게 맞는거 아닌가 라는 생각이 들어서요어떻게 해야 하나요 ㅠ.ㅠ
계약기간 24년 6월~26년 6월쯤으로 3월에 계약했습니다그날 확정일자도 받았습니다.그런데 예전집이 빨리 나가면서 5월에 잔금치루고 전입신고 했습니다. 계약서는 5월로 수정(줄긋고 도장)했구요이런경우 확정일자도 다시 받아야하나요?갑자기 불안해져서 질문 드립니다ㅠ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