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서 고민을 해결해 보세요
제가 임차인이고 임대인이 임대 계약종료 6개월 전에 임대인이 본인들이 집에 오겠다며 전세연장을 하지 않고 나가 달라고 하였습니다 . 갱신을 원했지만 임대인이 들어온다고 하면 계약갱신요구가 안된다는걸 알고 군말 없이 이사를 간다고 했습니다 근데 이사날 보니 집주인이 아닌 다른 세입자가 들어왔을 경우 보상 받을 수 없는건가요??
살던 전세집이 경매로 넘어가 낙찰되었습니다. 어쩔수 없이 이사를 가는데, 제가 소유하고 있던 시스템에어콘(실외기2대 에어콘8대) 붙박이씽크대(2개), 붙박이옷장(5개) 정원의 소나무및 과실나무등을 법적으로 가지고 갈수있는지요. 빠른답변 부탁드립니다
23.4.6~25.4.5일까지 전세계약을 했고 임대인은 법인으로 돼있음, 24.10.7일 문자로 갱신거절의사 표현했고 답장도 받았습니다. 또한 주택도시보증공사에 법인임대사업자 임대보증금보증에 가입되어있습니다. 그런데 전세계약만료일에 보증금을 못받을것같은데. 4.5일이 토요일이고 한데. 임차권등기명령 신청하려고하는데 절차와 필요서류가 어떻게 되는지 궁금합니다. 또한 4.5일 계약만료일에 돈안주는데 임대인이나 부동산에 말하거나 어떤 행해야하는것들이 있는지 궁금합니다.
가게를 5년간 운영하다가 다른분이 가게를 인수 하여 현재 가게 폐업후 이전위해 다른곳에 계약후 인테리어중입니다 신용대출이 3천만원 정도있구 연체된적은 없습니다 전세대출은 처음입니다 현재 보증보험 가능한전세매물 확인후 계약금은 넣기전입니다
빌라 매매 하려고하는데 제가 알면 좋거나 이용하면 좋은게 있나요?
청년 버팀목 전세 대출 가입 가능 여부를 알고 싶어요
전세 만기 후 반전세로 계약 연장했는데 전세 만기 후 1개월이 지나도 감액된 만큼의 보증금을 반환하지 않고 있습니다. 이 경우, 임차권등기명령 - 보증보험 이행청구 하면 이 반전세 계약은 어떻게 되는 건가요? 일단 실거주는 유지 중입니다.
임대인이 운영하는 (부동산 대표) 부동산에서 계약시 복비를 내야하나요? 또한 사무실 상가는 장기수선충당금을 돌려받지 못하나요?
전세보증금을 못 받고 있어요 계약만료일이 3개월이 지났어요
디가구 빌라인데 보증보험을 가입하고 싶어서요. 인터넷 찾아보니 다가구 보증보험 가입한 사례가 있어서 문의드립니다. 어떻게 해야하는지 구체적인 순서와 필요한 서류가 무엇인지 궁금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