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서 고민을 해결해 보세요
전세계약이 2월15일까지 입니다. 전세계약금을 언제까지 돌려줘야하나요? 세입자가 집은 나갓는데 돈을 받기전까지 짐을 빼지않겠다고 합니다. 저희는 집 도배를 하고 사람을 받아야 하는 입장이구요 그래서 세입자가 차용증을 써달라하여 차용증을 써준다햇더니 공증까지 받아서 달라하네요 그럼 공증비는 누가 부담을 해야하며 만약 공증을 받지않고 차용증만 써줄 시 효력은 전혀없나요? 계속 막무가내로 법적으로 하겠다 어쩐다하는데 그럼 저희는 어떻게 되나요? 만약 법적으로 진행시 그 법적비용은 누가 어떻게 부담하나요..?
88년 12월 23일생이구요 병역기간은 1년10개월입니다 이랬을때 현재 만36세인데 병역기간을 인정해주면 청년전세대출 대상에 포함되는게 아닌가요?ㅜㅜ 은행의 유선문의하니 계산하기 어렵다는데.. 일단 서류들고 내방하기로 했는데 미리 답변좀 얻고싶습니다!
전세 세입자로 들어가기위해 가계약서에 등기부에 대출있는거 잔금일 상환하는걸로하고 가계약을 200만원지급 했습니다 당일 계약하기로했는데 계약전 친언니에게로 명의 변경을 신청했다고 하는데 이경우에는 가계약 취소가 되는지 여부와 전세사기에 위험한 상황인지 여쭙고싶십니다 전세는 1억3천500 매매가는 1억 5천~9천 시세 대출은 1억2천 받아져 있는상황입니다 계약할때 위임장이랑 서류 다챙겨서 바뀐사람이 아닌 바뀌기 전사람이 온다고도합니다 급해서 글을 복잡하게 쓴거같네요.. 잘부탁드립니다
서울특별시 관악구 국회단지4길 26 (봉천동) 2층 중기청 대출이 가능한지 알고 싶습니다
부동산에서 집을 알아본 상태이고, 이전 세입자도 버팀목으로 들어온거라 집에 문제는 없다고 합니다. 다만 제가 버팀목 조건심사에 결격사유가 없을지 잘 모르겠어서 계약하기가 애매한 상황인데요.. 계약금 반환특약을 넣어주기 어렵다고 한 상화이라.. 버팀목 대출이 나올지는 넣어봐야만 알 수 있는걸지 궁금합니다. 또 제가 알기론 예비세대주로 제 소득으로만 심사를 보는 걸로 알고 있는데, 부동산에서 아직 세대분리가 안되어서 대출이 안나오실 수도 있을것 같은데요? 라고 하셨거든요.. 너무 이분야에 대해 잘 몰라서 계약을 진행해도 될지.. 그전에 좀 확실하게 알 수 있는 방법이 있을지 도움을 요청드랴요ㅠ
안녕하세요, 현재 세대주 가장입니다. 현재 신혼부부이며, 버팀목 전세대출중이며(저) 아내이름으로 아파트분양받아 입주예정입니다. 신혼부부 디딤돌구입자금대출 신청할려하는데, 1. 버팀목(전세), 디딤돌(구입) 중복대출 가능한지? 2. 입주아파트가 아내이름으로 분양됬는데, 아내가 무소득이라 대출가능한지? 문의합니다.
남편이 지방에 전세집이 있는 상황에서 해외 출장이 길어져 1년이내로 타인을 월세로 살게 할 수 있나요? 다시 돌아와야해서 전세는 그대로 놔두려고 합니다. 이때 1)이중계약서(전세/월세)로 문제가 되는지와 2)부동산에서 계약서를 써도 되는지 개인간의 계약서를 써도 되는지, 3)주인집에 이야길 해야하는지 궁금합니다
현재 전세로 오피스텔 거주중입니다. 작년 11월에 계약이 만료되어 이전부터 꾸준히 이사가겠다고 연락을 한 상황이라 집주인도 알겠다며 전세금을 돌려주겠다 했습니다. 다만 당장 돈이 없어 기다려달라며 계속 시간을 끌더군요 주기적으로 연락한 문자내역도 있습니다. 그렇게 기다려주면 꼭 돈을 주겠다며 차일피일 미루더니 얼마 전 결국 연락두절 됐습니다. 이미 이전부터 실랑이를 하면서 임차권등기를 설정하고 내용증명은 송달한 상황입니다. 더이상 대화나 협의는 의미가 없을 것 같아 가압류 신청과 지급명령신청, 아니면 소송을 해야하나 싶은데 가능은 한지, 어떤게 유리할지 모르겠네요. 전세금은 대출이라 현재 이자도 계속 나가고있어서 이 돈도 꼭 받아야 하는 상황입니다.
제가 25.4.20일까지 입니다 대출실행도 20일날 실행이 되었구요! 전세연장을 할라고하는데 25.4.20~27.4.20 이게 맞을까요? 25.4.20~27.4.19 이게 맏을까요? 실행이 20일이니깐 두번째가 맞나요?ㅠㅠ 계약서 뒤에다가 다시 적어야하는데 날짜를 어떻게 적어야하죠
곧 자취를 하는 대학생 입니다. 처음이라 많이 아는게 없어서 여쭤봅니다. 월세45만원에 관리비 12만원(수도, 가스, 전기, 인터넷, tv 포함)인 곳과 월세 43만원에 관리비 5만원(인터넷, tv만 포함) 인 곳 중에 어디가 더 나을까요?? 요즘 보증금 관련해서도 문제가 많은거 같건데 집 계약할 때 꼭 봐야하는 항목이나 꿀팁도 있으면 알려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