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서 고민을 해결해 보세요
임대사업자의 다세대 주택으로 2억5천에 전세집 계약을 했어요(주인이 가족구성원 9명입니다) 근저당 없고 임차인 보증보험 가입 협조를 특약으로 해서 HF청년버팀목으로 대출을 받으면서 결합상품인 보증보험 가입도 부동산과 은행에서 가능하다고 판명받고 바로 계약을 했어요 입주날 잔금 입금과 대출금 실행을 했는데 은행에서 갑자기 토지 지분 등기(대지 지분 등기)가 안되어 있어서 보험 실행이 안된다고 통보 받았어요.. 전입신고 해서 전입세대열람원과 확정일자를 받아서 은행에 제출한 상황이구요 임대인과 부동산이 전세권등기와 지분등기를 알아보니 금액이 만만치 않다고 못해준다 합니다.. 제가 특약을 얘기하며 이건 계약불이행이라고 하니, 다시 방법을 찾아보자고 지금 얘기중에 있습니다. 그래서 결론적으로 저는 지금 다세대 2억5천에 대한 확정일자, 전입신고 말고는 안전장치가 없는데 이 경우 건물이나 집주인에게 문제가 생겨도 제가 안전할까요..? (근저당 없고 공시지가 보다 금액이 낮아서 구청에서도 임대인 보증보험 가입 예외 조항으로 들어가있긴합니다..)
청년버팀목허그 대출을 진행하려고 하는데 입주일이 9월20일 입니다. 중기청상환이 8월12일이라 바로 상환하고 8월13,14,16일중에 은행제출서류 뽑아서 대출 신청 하러 가라는데 잔금일 기준 한달이내에 대출신청 가능한것 아닌가요? 그럼 8월 20,21일에 신청하러 가야되는게 아닌지 궁금합니당
내일만 출근하면 또 쉬는군요 좋쿠나~~^
우체국내용증명은 임대인 우체국 임차인 총3부가 주어지는대 세이프홈즈에서 내용증명은 어떻게 되는건가요? 그리고 집주인은 일본거주상태이며 대리인은 현재 이사를가서 주소가변경된 상태입니다 주소기입은 어떻게 하며 실집주인에게는 문자와 카톡으로 대처되나요?
임대료 인하방법이 알고싶어요
임대료 인상 주인과 협삼 어떻게하나요
신축 오피스텔에 전세계약을 하려고해요ㆍ전세보증금이 4억3천인데 근저당 채권최고액 5억1천6백이 잡혀있어요 ㆍ중개사 말로는 잔금 치르는날 말소를 해준다고 집주인이 얘기했고 계약시 특약에 명시한다는데 ㆍ혹시 이행이 안되면 어떻게 해야하는지요 ㆍ사전에 예방할수있는 방법이 있을까요 ?
월세 사려고하는데 보증금 2000짜리인데 여기안전한지검색 하는건 어떻게 해야하나요 어플로 하는중인데 전세검색만 떠서요
안녕하세요, 요즘 임대차 계약 갱신 문제로 고민하고 있는데, 여러분의 의견을 듣고 싶습니다.1년 전, 회사 근처의 아파트를 임대하면서 1년짜리 임대차 계약을 맺었습니다. 이제 계약 만료일이 다가오고 있는데, 임대인이 따로 연락을 주지 않는 한 자동으로 갱신될 거라고 들었습니다. 그런데 이 갱신 기간이 얼마인지 확실히 모르겠어서 궁금한 점이 생겼습니다.제가 알고 있는 바로는 처음 계약이 1년이었으니까, 묵시적으로 갱신되면 당연히 1년이 더 연장되는 게 아닐까 싶었어요. 그런데 친구들과 이야기하다 보니 묵시적 갱신이 되면 2년이 될 수 있다는 말을 들었어요.묵시적 갱신의 경우 계약 기간이 2년으로 간주될 수 있다고 하는데, 그러면 제가 1년만 더 살고 싶다면 어떻게 해야 하는 건가요? 이게 임차인을 보호하기 위한 법적 장치라고 하는데, 제가 처음에 1년을 계약한 게 영향을 미치지는 않는지 궁금합니다.혹시 이와 관련된 경험이 있거나 관련 법률에 대해 아시는 분이 계시다면 조언을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성도건설이 진행한 민간임대 전세 주거용 오피스텔들어왔습니다 24년 5월부터들어왔습니다 허그보증보험가입했습니다 보증금 못받을까봐 벌써조마조마하네요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