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서 고민을 해결해 보세요
제가 2025년 1월 31일에 월세 계약이 만료 됩니다 1월 10일쯤에 구두로 계약을 9월까지로 연장하겠다고해서 월세 5만원 더 올려주기로 하고 월세 입금을 했습니다 그런데 갑자기 이사를 해야 할 일이 생겨서 1월 17일쯤에 전화로 계약 파기 요청을 했습니다 이 경우에는 저희가 남은 계약기간 동안 월세를 줘야 하나요? 집주인이 부동산에 집을 내놓았지만 다른 비슷한 집보다 월세를 더 올려 받으려해서 집이 잘 안나갈것 같습니다 어떻게 해야하는지 잘 모르겠습니다
작년부터 천장에 도배가 조금씩 찢어지더라구요, 그래서 집주인한테 말했는데 괜찮다고 기다리라더니 지금 8개월 째 기다리고 있고 그 사이에 천장은 전등을 포함해서 다 찢어져서 너덜너덜 거리구요, 그래고 그동안 수차례 연락을 드렸으나 뭐 기다리라고만 하는데 제돈주고 사는곳에서 불편함을 느끼는데... 이거 뭐 어떡해야 합니까
2022년에 서울에서 자취하는 중 청년월세지원을 받았습니다. 서울시에서 한 사업이었는지 국토부에서 한 사업이었는지 기억이 안 나서요.. 어떻게 조회 할까요?
2월에 거주를 앞두고 있는데 전세로 들어갑니다 뭐 물 잘 나오는지, 방음은 잘 되는지 등등의 생활 요소들은 다 체크가 된 상태인데 계약 전, 후로 제가 전세금 보호를 위해서 따로 체크해야 하는 부분이나 준비해야 하는 부분이 있을까요?
집주인이 아닌..다른 사람을 진짜라 믿고 중개비 아껴보겠다고 계약을 맺었는데요.. 결국 이사날이 다되었는데도 아무소식없길래 찾아가보니 이미 다른분이 거주해있더군요...이런경우도 피해 구제신청이 가능한가요?그 사기꾼이 잡히면... 어떻게되는거죠?신고는 해놨는데요.. 너무 큰 기대는 하지마라고 하시기에.. 1억이 넘는 금액이라..어떻게해야될지...
계약 종료까지 60일. 집주인 번호 바꿈. 연락 두절. 전세 계약 연장 안 한다고 내용증명으로 보내고 연락 달라 했는데 연락 안 옴. 집주인 최근 은행에 27억 청구 맞음. 현재 질문자가 살고 있는 전세집은 가압류 들어옴. 최근 아파트 값이 떨어져 졸지에 깡통 전세 됨. 이럴때 어떻게 해야하나요?
안녕하세요 혹시 세이프 홈즈에서는 전세사기 피해자 신청에 자문을 구하거나 조언, 도움을 받을 수 있는 서비스는 따로 없을까요? 이의신청을 해야하는데 법적인 부분이나 보완 사항이 명확하게 보이지 않아 막막함에 질문 남깁니다.
2024년 7월 6일 매도계약 완료 ( 잔금은 2025년 2월 28일). 매수인이 현 물건에 전세임대를 놓으려했으나 아직까지 못 구한 상황이라서 잔금 불이행이 우려되는 상황입니다. ( 계약금 10%, 중도금 2회 받음, 매매가의 약 39%) 부동산측에 연락을 하니 5%정도의 이자를 받고서 세입자를 구할때까지 이해를 해달라고 하는 입장입니다. 저는 일정금액의 추가 중도금 및 5%이자를 한달정도받으면서 유예를 하면서 그 이후로는 잔금 완료시까지 법정최고이자 20%를 받던지 계약해지를 요청할까 합니다. 이렇게 진행해도 되는지 문의드립니다.
거주하고 있는 집 옆에 아파트 공사를 하고 있는데 소음이 정말 스트레스 받을 정도로 심합니다. 공항 근처에 거주하는 사람들은 지원금을 받는다고 하는데, 이런 경우에는 뭐 조치하거나 지원 받을 수 있는 방법이 있나요?
제가 24년 12월 까지 원룸에 살다가 다른 곳으로 이사를 왔는데 24년 월세 세액공제 받을 수 있나요? 주소이전은 한 상태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