에서 고민을 해결해 보세요
현재 전세로 오피스텔 거주중입니다. 작년 11월에 계약이 만료되어 이전부터 꾸준히 이사가겠다고 연락을 한 상황이라 집주인도 알겠다며 전세금을 돌려주겠다 했습니다. 다만 당장 돈이 없어 기다려달라며 계속 시간을 끌더군요 주기적으로 연락한 문자내역도 있습니다. 그렇게 기다려주면 꼭 돈을 주겠다며 차일피일 미루더니 얼마 전 결국 연락두절 됐습니다. 이미 이전부터 실랑이를 하면서 임차권등기를 설정하고 내용증명은 송달한 상황입니다. 더이상 대화나 협의는 의미가 없을 것 같아 가압류 신청과 지급명령신청, 아니면 소송을 해야하나 싶은데 가능은 한지, 어떤게 유리할지 모르겠네요. 전세금은 대출이라 현재 이자도 계속 나가고있어서 이 돈도 꼭 받아야 하는 상황입니다.
제가 25.4.20일까지 입니다 대출실행도 20일날 실행이 되었구요! 전세연장을 할라고하는데 25.4.20~27.4.20 이게 맞을까요? 25.4.20~27.4.19 이게 맏을까요? 실행이 20일이니깐 두번째가 맞나요?ㅠㅠ 계약서 뒤에다가 다시 적어야하는데 날짜를 어떻게 적어야하죠
곧 자취를 하는 대학생 입니다. 처음이라 많이 아는게 없어서 여쭤봅니다. 월세45만원에 관리비 12만원(수도, 가스, 전기, 인터넷, tv 포함)인 곳과 월세 43만원에 관리비 5만원(인터넷, tv만 포함) 인 곳 중에 어디가 더 나을까요?? 요즘 보증금 관련해서도 문제가 많은거 같건데 집 계약할 때 꼭 봐야하는 항목이나 꿀팁도 있으면 알려주세요
제가 4월 28일까지 월세계약인데 이사갈려고하는데 방많이 나오는 달이 언제일까요? 그리고 방은 지금부터 구해야할까요 아님 3월초?부터 구해야 좋을까요?
안녕하세요 자취를 시작하려고하는 청년입니다 아직 직장을 다니기 시작한지는 6개월 남짓 되어서 모아둔 자금은 거의 없습니다 대출을 받아서 월세 혹 전세를 얻어야할 것 같은데요 이럴땐 은행을 가는게 먼저인가요 부동산을 가는게 먼저인가요?
보증금 500에 월세54인 집을 12월 31일에 계약한 상태입니다.그래서 12월 31일에 보증금이랑 월세를 둘다 냈구요 31일 마다 월세를 지불하기로 했습니다. 제가 궁금한건 12월엔 제가 산 게 아닌데 54만원을 지불하는 게 맞나요?? 23년 12월 31일부터 살기 시작해서 6월달까지 월세를 총 7번을 냈거든요. 이게 맞는 건가요?
집주인주거침입으로 저희 엄마가 고소를 당했습니다. 엄마는 오피스텔을 관리하고 있고, 6개월 전부터 한 세입자가 잠수를 탔대요 월세 밀린건 당연하고 각종 공과금에 택배에 그 집으로 쌓인게 너무 많아서 연락을 했는데 수도 없이 연락해도 안받았다고 합니다 그리고 옆집에서 민원도 들어오고 있다고해서 엄마가 어쩔수 없이 문을 열고 들어갔대요 근데 집에 홈캠이 설치되어 있었고, 세입자의 부모가 이걸 보고 고소를 했다고 하네요 들어갈만한 이유가 있었는데도 집주인주거침입이 되는건가요 ??
저는 세입자이며 집주인에게 전세만기 후 연장이나 월세로라도 몇달 더 살 수 있는지 제안했으나 전세만기 3개월전 집주인이 문자로 집을 내놔야 할거같다는 말과 함께 그날 바로 부동산에 매매를 올렸습니다. 그리고 저도 빨리 이사를 하는게 마음이 편할거 같아 다른 중개사에도 올려도 되는지도 물으며 협조 하였으나 이사갈집을 계약하기전 만기를 한달정도 남긴 시점에서 집주인에게 만기날 보증금을 확실히 돌려 달라고 연락을 하였으나 집이 매도되지 않으면 보증금을 돌려 줄 수 없다는 답변을 받았습니다. 이런경우에도 내용증명을 보내고 만기이후 임차권등기 하는 방법밖에 없는지요 … 먼저 계약 해지 통보를 해놓고 만기에 보증금을 못줄 거 같다는게 너무 화가나고 답답합니다.
2년전에 임차해서 계약기간 만료로 이사짐을 다 뺀 상태 입니다. 과거 임차인들이 만들어 낸 못자국 과 벽에 페인트 칠 약간 덧 댄 상태를 제가 한 거라면서 , 저 보고 다 복구 하기 전에는 보증금 못 준다고 합니다. 즉 벽 못구멍들을 다 메꾸고 전체 칠을 새로 하라는 거죠. 그런데 저는 스탠드 선반으로 짐을 보관 했고 벽 선반 달기나 인테리어 공사 자체를 안했습니다. 이럴때 제가 어떻게 대처해야 보증금을 반환 받을지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전입신고는 진행하지 않고 전월세신고만 진행했을 경우에도 보증금보호를 받을 수 있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