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이프홈즈 보고서에는 hug, hf 모두 보증보험이 불가능하다고 하는데, 부동산에서는 가능하다고 합니다. 이미 가계약금은 입금한 상황입니다.
지금현재 살고있는곳이 1000/40이고 이사할곳이 1억/60 인데 현재 살고있는곳에 카카오전월세 900만원이 있습니다 이사할곳도 카카오 전월세대출 받아서 갈려고 하는데 900을 상환하고 다시해야되는건가요 아니면 연결? 할수있는 그런게있나요??
제가 오늘 월세 계약 하러가는데요, 임장은 마쳤고 오늘 계약서 쓰는데 실 입주는 4월6일입니다. 이럴경우 특약에 임차인의 실 입주(4월6일) 다음날까지 현재 권리사항은 변동이 없어야한다. 와 같이 특약을 넣고 전입신고,확정일자를 4월6일에 받으면 되는걸까요? 계약서 작성할 당시 받아도 되는건가요? 현재는 이전세입자가 사는중이고 제가 입주전에 나갈예정입니다 근생빌라에 주택입니다
5월에 아파트 전월세 계약이 만료되기 3개월 전인 2월에 집주인이 연락이 와 실거주를 해야 하니 집을 비워 달라고 말했습니다. 그래서 저는 계약갱신청구권을 사용하려고 하는 의사를 밝혔지만 집주인의 실거주는 청구권 행사가 안됨을 알고 3월에 새로운 아파트 전월세를 계약했습니다. 그런데 오늘 집주인이 병으로 인해 이사를 못 가게 되었다고 혹시 계약 연장할 수 있냐고 연락이 왔습니다. 하지만 이미 계약금을 새로운 아파트에 걸어놔서 이를 취소하려면 계약금 1500만원을 반환해야 합니다. 이럴 경우 어떻게 해야하는지 궁금하고 혹시 이런 경우에도 집주인이 실거주를 하지 않고 다른 세입자를 받는다면 손해배상 청구할 수 있는건가요?
특약사항에 계약연장 및 종료시 계약2개월전까지 계약의 의사표시를 한다고 적혀 있습니다. 만약 이 얘기를 안하고 지나가면 어떻게 되는 건가요?
수원에 있는 아파트로 월세 알아보고 있습니다. 해당 아파트는 거래가가 11억정도 되더라고요. 그런데 집주인이 대출을 받아 채권액이 82500만원입니다. 여기에 제가 월세로 들어가는데 보증금이 1.5억이에요. 집가격이 떨어질걸 생각히면 애매한 액수같은데... 어떤가요?
전월세계약 만료3일전에 수리이유로 방빼달라는경우 언제까지 방을 빼줘야 하나요? 법적으로 보통 6개월에서 2개월전에 통보해야되는거아닌가요 갑자기 방빼라고하니 걱정입니다 전문가분들 도와주세요.
전세 만기일이후 대략 한달반정도 추가로 지내다가 이사갑니다. 추가로 지내는날 부분만큼 월세를 계산해서 지급하기로 했는데, 계산 좀 부탁드립니다. 전세 보증금 367,500,000 현재 전세 시세 500,000,000 일경우, 반전세시 차액 132,500,000 만큼의 월세는 어떻게 계산되나요? 전월세전환율을 몇프로로 계산하면 되는건가요?
처음에 보증금 낮게 했다가 다음달부터 500정도 올려서 월세 줄이고 그렇게 할수도 있나요??
청년 버팀목 전세대출 알아보는 중인데 관심 있는 매물이 전세 보증금 3억 6천입니다 청년 버팀목 전세대출이 3억짜리 매물까지만 가능해서 1계약 3억 2계약 나머지 잔금 6천으로 쪼개서 전세 계약이 가능할까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