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개사가 임대인한테는 월세로 얘기하고 저한테만 전세로 계약한 거더라고요...
- 2025-04-03
- 변호사상담
- 공인중개사 사기

'2025-04-03'에 고객님께서 문의 주신 상담 화면이며,
아래 내용은 해당 상담을 텍스트로 정리한 내용입니다
네, 저 좀 문의드릴 게 있어서요.
오후 03:43안녕하세요 고객님, 말씀해주세요
다가구주택에서 전세 계약을 했는데요, 전세보증 가입이 가능한지 궁금해서요.
오후 03:49네 고객님, 혹시 선순위 보증금이 얼마인지 알고 계실까요?
선순위 보증금이 뭐예요?
오후 03:54아, 고객님보다 먼저 입주한 세대들의 보증금 합계를 말하는데요, 이걸 알아야 보증 가입 가능 여부나 위험도를 정확히 확인할 수 있어요.
아 그렇구나.
오후 03:57저희 ‘세이프홈즈’ 앱을 다운받으신 뒤, 메인 화면에서 주소와 보증금을 입력하고 선순위 보증금까지 입력해주시면 ‘전세 안심 리포트’를 확인하실 수 있어요. 혹시 지금 계약 전이신가요?
아니요, 계약한 지는 세 달 정도 됐어요.
오후 04:01아 네, 그럼 현재 계약된 상태에서 위험도를 확인해보고 싶으신 거네요.
네. 지금 뭔가 문제가 있을 것 같아서요. 전세금을 공인중개사에게 줬는데...
오후 04:05아, 혹시 집주인 명의 계좌가 아니라 공인중개사 계좌로 입금하신 건가요?
네, 중개사 계좌요. 위임장도 있더라고요.
오후 04:08고객님, 보통은 등기부등본상 임대인 명의 계좌로 직접 입금하셔야 해요. 타인 계좌로 입금하는 건 굉장히 위험하고, 사기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거든요.
아 그래요... 중개사가 임대인한테는 월세로 얘기하고 저한테만 전세로 계약한 거더라고요.
오후 04:11네, 그럼 중개사가 임대인과 다른 계약 조건을 고객님께 제공한 거네요.
맞아요. 3월에 청산하고 정산할인도 해준다고 했고, 4월 5일까지 마무리해준다고 했는데 지금은 연락이 안 돼요.
오후 04:15아이고... 혹시 임대인과 직접 통화해보셨어요?
예, 집주인도 처음엔 자기가 월세로만 계약된 줄 알았다고 하더라고요. 저희 아이가 이사 들어가면서 월세 얘기를 듣고 “전세인데요?”라고 해서 알게 된 거예요.
오후 04:20그럼 임대인은 고객님과의 전세계약 사실 자체를 몰랐던 거네요.
네, 전혀 몰랐다더라고요.
오후 04:24이건 굉장히 심각한 상황이에요. 중개사가 전세계약서를 작성해놓고 실제 집주인에게는 월세 계약인 것처럼 처리했다면, 명백한 사기입니다.
그 중개사 등록된 정식 공인중개사 맞아요. 보조원이 아니고요.
오후 04:29아, 정식 공인중개사라면 더더욱 문제가 큽니다. 고객님, 지금 상황은 저희 리포트를 통해 보증금 위험도를 파악해보셔도 좋지만, 먼저 경찰서에 사기 피해 상담을 꼭 받아보셔야 해요.
네. 지금도 중개사가 4월 5일까지는 처리하겠다고는 했는데...
오후 04:34그런 말은 책임 회피일 수 있어요. 지금처럼 임대인이 전세 사실을 몰랐다면, 계약 자체가 무효일 가능성이 큽니다. 중개사가 고객님을 속이고 전세 보증금을 가로챈 거니까요.
근데 위임장이 있거든요. 거기 임대인이 보증금 수령도 중개사에게 위임한다고 되어 있어요.
오후 04:38위임장이 있다고 하더라도, 임대인이 “나는 월세 계약만 위임했지, 전세 계약한 줄 몰랐다”라고 주장하면 임대인도 사기 피해자가 될 수 있어요.
에이 머리 아프네요...
오후 04:42마음 충분히 이해해요 고객님. 그래서 경찰서에 먼저 사실관계를 상담받아보시고, 필요하시면 저희 ‘변호사 상담 서비스’도 이용해보시는 게 좋을 것 같아요.
세이프홈즈’ 앱에서 변호사 상담 신청하시면 현재 상황에 대해 법률적으로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 자세히 안내받으실 수 있어요.
네, 그럼 한번 확인해볼게요.
오후 04:48감사합니다 고객님. 추가로 궁금한 점 있으면 언제든지 연락 주세요.
💡 세이프홈즈 솔루션
공인중개사가 전세를 가장해 보증금을 수령한 의심 사기 사례로, 고객은 우선 경찰 민원상담을 통해 형사 피해 여부를 확인하고, 세이프홈즈 앱 내 ‘전세안심 리포트’로 위험도를 파악한 뒤 ‘변호사 상담 서비스’를 통해 법적 대응 절차를 안내받을 수 있습니다.
홈즈 추천상품변호사상담집주인과 분쟁 해결, 소송, 압류, 사기 피해 법적 조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