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부동산 전망, 어떻게 될까?
부동산백과 2024년 부동산 전망, 어떻게 될까?

부동산백과

세이프홈즈
2024년 부동산 전망, 어떻게 될까?


세이프홈즈는 부동산 정보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해

2030 사회초년생을 대상으로 한 컨텐츠를 발행합니다.

2024년 올해 집값은 과연 떨어질까요, 아님 상승할까요 ?
최대한 객관적인 데이터들을 근거로 전망해 보았으니
향후 투자에 참고하실 때 도움이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1. 집값 상승 VS 하락

📍
현재 부동산 전망에 대해서는 전문가들 사이에서
상승과 하락에 관해 의견이 분분히 나뉘고 있습니다.

하락론자​의 입장
"고금리 장기화와 경기 침체 상황에서
누가 부동산을 살 것인가?"

하락론자는 사주는 사람이 없으니 집값이 하락하는 것은 당연하다고 주장합니다.
반면, 상승론자​의 입장
"여당이 4월 총선에서 승리하면
부동산 정책을 대폭 완화할 것이고, 금리도 곧 인하될 예정이다!"

상승론자는 이제 집값이 바닥을 친 후 오를 일만 남았다고 주장합니다.


출처 : 이코노믹 리뷰

그럼에도 2024년 부동산 전문가들의 의견을 보면 하락세가 더 우세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상반기까지 금리를 인하하는 것은 어려워 보이며, 최근 한국의 경제 성장률이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추세이기 때문입니다.


2. ​부동산 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들

"금리, 경제성장률, 물가, 통화량, 세금, 부동산 정책, 혼인율, 출산율, 각종 대외변수들 등등..."


부동산 가격을 예측하기 위해 고려해야 하는 변수들이 굉장히 많은데요. 
그중에서도 올해 부동산 시장의 가장 큰 변수는 '금리'가 될 것이라는 주장이 많습니다.

자가 비율이 높지 않았던 과거에는 공급물량이 시장에 가장 큰 변수였다면, 최근에는 자가 비율의 증가와 공급물량 안정으로 금리가 집값에 가장 큰 영향을 줄 것이라고 보고 있습니다.

아울러 금리 인하가 시작되면 부동산 매수심리가 되살아나 부동산시장의 거래 활성화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

3. 건설연구원들이 예측한 올해 부동산시장 전망은?

1) 한국건설산업연구원

"전국 매매 2% 하락, 전세 2% 상승"
한국건설산업연구원(이하 건산연)은 내년 집값을 하락으로 전망했습니다. 2024년에는 전반적으로 대출 시장의 경직성이 강화되고, 고금리 장기화가 우려되면서 주택시장이 하락할 것이라고 예상했습니다. 반면, 전세는 2.0% 상승할 것으로 보았습니다. 전세자금 대출 금리가 하락하고 있고, 매매 수요 축소로 인한 수요 유입이 있으리라 예상했기 때문입니다.

2) 대한건설정책연구원

"수도권 매매 1% 전세 2% 제한적 상승 ..."
대한건설정책연구원도 역시 내년 주택시장에 대해 수요 약세 지속 및 공급 여건 약화, 시장 확장세 둔화 등이 불가피하다고 보았습니다. 이에 수도권 아파트 기준 매매 1.0%, 전세 2.0% 내외의 제한적 상승을 전망했습니다.


🙌 두 곳의 종합적 의견

'매매시장은 하락, 전세시장은 상승'할 것이다.
매매시장의 경우 서울은 상승, 수도권과 지방은 하락이라는 '양극화 현상'이 일어날 것으로 예상된다.


4. 결론

지금까지 내용을 정리하자면, 2024년 올해 집값에 관해서는 하락 또는 제한적 상승이라는 의견이 우세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공통적인 원인으로 고금리 지속, 가계부채 부담, 매수 심리 위축 등이라고 보았고, 주택 경기가 쉽게 좋아지지 않을 것이라고 예측했습니다. 

부동산 가격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는 무수히 많습니다.
예측은 예측일 뿐, 100% 믿기보다 참고하시는 정도가 좋을 것 같습니다. 

  • 부동산백과0
  • 부동산백과867

다음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