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달라지는 부동산 취득세율
부동산백과 2024년 달라지는 부동산 취득세율

부동산백과

세이프홈즈
2024년 달라지는 부동산 취득세율


세이프홈즈는 부동산 정보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해

2030 사회초년생을 대상으로 한 컨텐츠를 발행합니다.


2024년 새로 바뀌는 취득세율과 취득세 감면 내용에 대해 알아본 후
취득세 계산하는 법에 대해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 취득세란?

부동산이나 차량, 기계장비 등을 취득할 때 납부하게 되는 세금으로
'지방세'에 해당됩니다.


◾ 취득세 과세대상

 1) 주택·상가·토지와 같은 부동산
 2) 차량, 기계장비, 선박, 항공기 등

이중에서 부동산의 취득세는 주택과 주택외로 나누어집니다.


◾ 납세자는?

위 과세대상 물건을 취득한 자입니다.
등기, 등록을 하지 않아도 잔금 지급 등 사실상 취득한 경우를 포함합니다.


◾ 중과세 대상은?

▪ 대도시내 법인이 취득하는 일정 부동산 취득에 대해 중과
▪ 법인 및 다주택자의 주택 취득(유상, 무상)에 대해 중과
▪ 사치성 재산(별장, 고급주택, 골프장, 고급오락장, 고급선박)에 대한 중과


◾ 신고 납부 방법은?

취득일로부터 60일
(상속은 6개월, 외국 주소는 9개월)이내 과세 관청에 신고, 납부하면 됩니다.


◾ 2024년 부동산 취득세율

부동산 취득세율은 주택 유상, 무상 취득시 취득세율 적용
주택 외 부동산에 대한 취득시 취득세율 적용으로 나누어 집니다.

 ▶ 주택 유상·무상 취득시 취득세, 지방교육세, 농어촌특별세




 ▶ 다주택자, 법인 등 중과세율 



✔ 지방교육세 : 중과분(8%, 12%) 모두 0.4%
✔ 농어촌특별세 : 8% 중과분 0.6%, 12% 중과분 1%

◾ 다주택자 취득세 중과 완화는?

현재 조정지역은 강남, 서초, 송파, 강남3구와 용산입니다.
1주택자가 이 4개의 지역에서 주택을 새로 구입하게 되면 매수 금액의 8%를 취득세로 내야 합니다. 주택수에 합산되는 대상은 주택, 주거용오피스텔, 입주권, 분양권과 상속 개시일로부터 5년이 지난 상속 주택이 포함됩니다.
▶ 주택 외 부동산 취득세, 지방교육세, 농어촌특별세


- 주택 외 부동산의 취득세율은 주택과 달리 소유하고 있는 개수와 상관없이 세율이 2.3% ~ 4% 사이로 정해져 있습니다.

◾ 2024년 부동산 취득세 감면

2024년부터 출산이나 양육 목적으로 주택 취득시 '500만원 한도 내'에서 취득세를 감면 해준다고 합니다.

출산일 후 기준으로 5년 이내 12억 이하의 주택을 구입하는 1가구 1주택자는 취득세(500만원 한도)를 감면 받을 수 있습니다.


※ 출생가구 취득세 감면 요건 ※

✔ 감면 대상 : 2024년 1월 1일 ~ 2025년 12월 31일 자녀를 출생한 자 또는 출생자의 부

✔ 감면 요건 
  ① 출산 후 5년 내 양육용 주택을 취득, 주택 취득 후       1년 내에 출산하여 양육용 주택으로 사용하는 경우*
     *주택 취득시기 2024년 1월 1일 이후

  ② 해당주택으로 1주택이 되는자**
    **주택 취득 3개월 이내 1가구 1주택자 가능

✔ 감면율 : 취득세 100% (한도 500만 원)

✔ 시행시기 : 2024년 1월 1일


◾ 생애최초 취득세 감면

생애 최초 추택을 구입하는 경우에는 2025년 12월 31일까지 '최대 200만원 한도'로 취득세 감면을 받을 수 있습니다.

※ 생애최초 취득세 감면 요건 ※

✔ 대상 : 생애최초로 주택을 구입하는 자

✔ 무주택 확인범위 : 가족관계의 등록 등에 관한 법률에 따르는 본인 및 배우자

✔ 요건 및 예외사유 : 주택 취득자가 실제 거주 해야 하며, 상속으로 주택의 공유지분 소유에 따른 일시적 주택 보유 등은 예외적으로 무주택으로 인정

✔ 주택가액 및 감면범위 : 12억원 이하, 최대 200만원 한도로 취득세 감면 생애 최초구입 요건 충족 시 중과세율이 아닌 일반 세율(1%~3%세율)과 감면을 적용하여 과세

✔ 적용 기간 : ~2025.12.31


◾ 2024 취득세 계산

일일이 계산 하는 것이 어렵다면,
위택스 사이트에 가셔서 부동산 취득세 계산기를 활용하시면 됩니다.


✔ 위택스 사이트 접속 > 지방세정보 > 지방세 미리계산


✔ 본인의 상황에 맞게 선택하고 입력하면 간단하게 계산하실 수 있습니다.


▼위택스 사이트 바로가기▼

www.wetax.go.kr


지금까지 2024년 달라지는 취득세와 취득세 계산 방법, 취득세 감면에 대한 내용을 살펴보았는데요. 꼼꼼하게 체크하셔서 각자에게 맞는 혜택을 잘 챙기셨으면 좋겠습니다. 

  • 부동산백과0
  • 부동산백과1338

다음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