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이프홈즈 고객사례

발로 뛰며 알아봐도 복잡했는데,
세이프홈즈한눈에 딱 정리해주더라고요

주택청약 1순위, 2순위 조건 안내
부동산백과 주택청약 1순위, 2순위 조건 안내

부동산백과

세이프홈즈
주택청약 1순위, 2순위 조건 안내

세이프홈즈는 부동산 정보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해 
2030 사회초년생을 대상으로 한 컨텐츠를 발행합니다
'주택청약통장' 다들 가입하셨나요?

내 집 마련을 위한 첫걸음으로, 주택 청약통장의 개설은 중요한데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주택청약 1순위, 2순위에 대해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우선 1순위 조건 전에 미리 알아야 하는 것은 민영, 공공주택의 구별입니다.

민영주택민간 기업이 개발하여 분양하는 것인 반면, 공공 주택은 정부 또는 공공기관이 기금을 마련해 건설하는 것으로 국민주택이라고도 불립니다.

이러한 구분을 명확히 이해하여야

청약 전략을 수립하고,

적합한 주택 유형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 민영주택 1순위 기준 ◀

📍 지역에 따른 가입 기간 구분


지역
가입 기간
투기과열지구 (서울의 송파, 용산, 강남, 서초)
통장 가입 후 2년
수도권
가입 후 1년
수도권 외 지역
가입 후 6개월
수도권은 가입 후 1년,

수도권 외 지역은 가입 후 6개월이 경과해야

주택청약 1순위로 인정됩니다.

📍 전용면적에 따른 예치금 구분


면적 구분
서울/부산
기타 광역시
기타 시/군
전용면적 85㎡ 이하
300만 원
250만 원
200만 원
102㎡ 이하
600만 원
400만 원
300만 원
135㎡ 이하
1000만 원
700만 원
400만 원
135㎡ 초과
1500만 원
1000만 원
500만 원
이때 기준지는 입주자 모집공고일 현재 기준

주민등록본 전입을 기준으로 합니다.


▶ 국민(공공) 주택 1순위 기준 ◀

주택청약 1순위 기준에 있어서

청약 통장 가입 기간은 민영과 국민은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단, 납입 횟수 조건에 있어 주의해야 합니다.

📍 지역에 따른 납부 횟수 구분


지역 구분
납부 횟수
투기과열지구
24회 납입
수도권
12회 납입
수도권 이외
6회 납입

기본적으로 투기과열지구라면 24회 납입,

수도권은 12회 납입,

수도권 이외의 경우 6회 납입이

충족되어야 합니다.

이러한 조건을 충족하면서도 3년 이상 무주택 세대 구성원으로서 높은 납입액을 보유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단, 주택청약 1순위자가 많은 경우라면

3년 이상 무주택 세대 구성원으로서 납입인정금액이나 회차가 높은 순으로 우선권을 부여받습니다.

즉, 2~50만 원 내에서 자유롭게 납부할 수 있지만, 

10만 원을 장기간 동안 납부한 사람을

더 우대한다는 말입니다.

1순위 후에는 가점제를 적용합니다.

우리나라에 1순위 대상자만

약 1000만 명 있다고 합니다. 😲

따라서 1순위 중에서도 '가점제'를 활용해

청약 당첨자를 뽑고 있는 것입니다.

가점을 받기 위한 조건은 3가지입니다.


1) 무주택 기간

: 기간에 따라 2~32점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만 30세가 되는 날부터 세지만,

만약 그전에 결혼했다면 

혼인신고일부터 세면 됩니다.


2) 부양가족

: 부양하는 가족 한 명 당 5점씩 더해지고,

5~35점까지 받을 수 있습니다.

3) 청약통장

: 만 15년 이상 가입했을 경우,

최대 17점까지 얻을 수 있습니다.


지금까지 민영, 공공 주택 청약의 1순위를

각각 살펴보았는데요. 이해가 잘 되셨나요?

주택청약통장을 만드셨다면,

이제 주택청약 1순위가 될 차례입니다!


조건들을 잘 이해하셔서

1순위가 되셨으면 좋겠습니다. 😚

감사합니다.


  • 부동산백과0
  • 부동산백과348

다음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