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민상담
쭈니안녕하세요.
작년 9월에 기업은행 안심전세대출로 8천만 원을 대출받고, HUG 전세보증보험에도 가입했습니다. 곧 재계약을 앞두고 집주인과 상의하여 전세금을 2,500만 원 감액하려고 합니다. 이에 대해 몇 가지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
IBK 안심전세대출은 채권양도가 되어 있어 보증금 감액 시 집주인이 저에게가 아닌 은행에 돈을 보내야 하는 것이 맞나요?
만약 그렇다면, 집주인이 은행에 2,500만 원을 송금하면 제 대출 8천만 원에서 바로 차감되는 건가요? (잔여 대출금이 5,500만 원이 되는지)
대출받을 때 가입했던 전세보증보험을 연장하려고 하는데, 재계약 날 대출금을 모두 상환할 예정입니다. 이 경우 대출이 없어지더라도 최초 대출 시 가입했던 전세보증보험은 그대로 연장될 수 있나요? 그리고 기업은행에서 최초로 보증보험에 가입한 경우, 보증보험 연장을 위해 기업은행에 직접 방문해야 하나요?
감사합니다.
- 2
- 319
다음 글📖
- 확정일자 관련 문의사항
전세계약 확정일자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저는 혼자 자취하고 있는 직장인입니다. 기존 A 전세집 만기가 24.6.11.자로 만기되었는데, 집주인이 9월 말까지 보증금을 돌려주기로 했습니다. (기존 A 전세집 확정일자와 전입신고 ○) 위 상태로 새로운 전세집 B를 계약을 하려고 합니다. 새로운 전세집 이사는 10월말으로 기간이 많이 남았지만 집이 마음에들어 계약을 먼저하고, 확정일자만 받은 상태로 9월말 A집 집주인에게 보증금을 받아 10월 이사하여 전입신고 할 예정입니다. 여기서 궁금한게 1. 미리 B집을 계약하고 확정일자를 받게 되면 A집에 받아놓은 확정일자가 효력을 잃게 되는지 (A,B 두 집에 유효한 확정일자가 유지되는지) 2. B집에 대한 새로운 계약서 작성으로 A집 보증금에 대해 문제가 생기진 않는지 여부가 궁금합니다.
초고가 아파트 외에도 서울 집값이 오른다는 뉴스가 종종 보인다.다시 집값은 상승할까?힌트를 찾으려면, 그동안 집값이 떨어진 이유를 명확히 해야 할 것 같다.첫째, 누가 뭐래도 급격한 금리 인상이다. 여기서 나는 금리가 오르면 집값이 떨어진다는 반비례 관계를 말하는 게 아니다. 2021년 당시에는 문재인 정권에서 집값을 잡기 위해 노력했고 기준금리와 주택 담보 대출 금리 또한 2% 넘게 차이가 났었다.둘째, 투자 심리가 꺾였다.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을 보면 2022년 부터 급격하게 주택 가치 전망을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사람이 많았다. 부동산에서 수요, 공급 보다 때로는 더 중요할 수 있는 것이 바로 이 심리다.현재 금리에 대한 추이와 투자 심리가 어떤지 살펴보자.금리 okay심리도 not bad서울은 확실히 공급 부족함... ㅎㅎ오늘은 여기까지 ~~~
안녕하세요.작년 9월에 기업은행 안심전세대출로 8천만 원을 대출받고, HUG 전세보증보험에도 가입했습니다. 곧 재계약을 앞두고 집주인과 상의하여 전세금을 2,500만 원 감액하려고 합니다. 이에 대해 몇 가지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IBK 안심전세대출은 채권양도가 되어 있어 보증금 감액 시 집주인이 저에게가 아닌 은행에 돈을 보내야 하는 것이 맞나요?만약 그렇다면, 집주인이 은행에 2,500만 원을 송금하면 제 대출 8천만 원에서 바로 차감되는 건가요? (잔여 대출금이 5,500만 원이 되는지)대출받을 때 가입했던 전세보증보험을 연장하려고 하는데, 재계약 날 대출금을 모두 상환할 예정입니다. 이 경우 대출이 없어지더라도 최초 대출 시 가입했던 전세보증보험은 그대로 연장될 수 있나요? 그리고 기업은행에서 최초로 보증보험에 가입한 경우, 보증보험 연장을 위해 기업은행에 직접 방문해야 하나요?감사합니다.
👆 보고 있는 글
상가주택 근저당 잡힌거 전세 들어가도되나요?전세 2.8억짜리 상가주택입니다. 1층 상가 / 2층~4층 2세대씩 주거 7.2억 근저당 잡혀있습니다. 전세로 들어가도 될까요? 보통 30% 이하다 하면 안전빵이다 하는데 어떤식으로 계산이 되어 괜찮다고하는지 알고싶습니다.
오피스텔에 월세계약(22.6-23.6)23년2월에 전세사기건물이라 경매로 넘어간다고 들었습니다그때부터 월세는 내지않았고, 법원에 배당신청까지 완료했습니다23.9월까진 공용관리비(개별수도포함)하고 이후부터 공용관리비는 내지않고 있는데관리소에서 미납분을 내라고합니다공용부분은 제외하고 개별수도 미납분만 지급해도 이후에 문제가 안생길까요,,?(개별 전기료등 공과금은 계속 납부중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