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민상담
쑤전세계약 확정일자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저는 혼자 자취하고 있는 직장인입니다.
기존 A 전세집 만기가 24.6.11.자로 만기되었는데,
집주인이 9월 말까지 보증금을 돌려주기로 했습니다.
(기존 A 전세집 확정일자와 전입신고 ○)
위 상태로
새로운 전세집 B를 계약을 하려고 합니다.
새로운 전세집 이사는 10월말으로 기간이 많이 남았지만 집이 마음에들어 계약을 먼저하고, 확정일자만 받은 상태로
9월말 A집 집주인에게 보증금을 받아 10월 이사하여 전입신고 할 예정입니다.
여기서 궁금한게
1. 미리 B집을 계약하고 확정일자를 받게 되면
A집에 받아놓은 확정일자가 효력을 잃게 되는지
(A,B 두 집에 유효한 확정일자가 유지되는지)
2. B집에 대한 새로운 계약서 작성으로 A집 보증금에 대해 문제가 생기진 않는지 여부가 궁금합니다.
- 6
- 338
다음 글📖
- 퇴직중간정산문의
집구매 자금 시골집인돼요 퇴직금 중간정산 할라구 하는돼요 등기부등본.건축물대장등기 전부검색안돼요 이런경우 어떠해야 돼는거죠 조언부탁드림니다
전세만기는 25년1월인데 사정상 24년 1월말 이사를 나왔습니다 그런데 집주인이 계약해지는 불가하고 새임차인을 구하는데 동의를 해줘서 전집에 가전 하나두고 전입신고 그대로 유지한상태로 이사 나와있는상태입니다. 집이 워낙 오래되서 낡고 탑층이고 주인이 비싸게 내놓은 편이라 집이 안나가는 상황인데요 궁금한건 집이 안나가도 25년1월 만기때 바로 보증금을 돌려받을수있나요? 허그 보증보험 가입되어있고 이사나가는건 집주인이랑 23년11월~12월까지 합의되서 문자 내용 있고 나온상태 입니다. 집은 비워져 있지만 관리비+월세+가스비 전부 내고 있구요 (사실상거주는 안하지만 거주하는거랑 같은거 아닌가요..?) 알아보니 보증보험에서는 이사는 나가면 안된다는데 거주하고 있어야 된다는데 전입신고도 전집 그대로 되어있고 관리비+월세+대출이자등 요금등 전부 지불하는데 거주하는 상태로 되는건가요?? 제경우는 이사는 나갔지만 우선변제권 대항력 있는건지요? 만기때 무조건받아야해서요 조언좀 부탁드려요..! 올해 7월지나서 내용증명은 보내놓을 예정입니다 만기때 보증금 돌려달라는 내용으로요 자잘한수리들 때문에 집주인과 좀 갈등아닌갈등이 있었지밀 원만하게 계약종료 원하긴 합니다 현시점 새로운 임차인을 기다리는데 집은 안나가고 이제 7개월 가량 남았는데 만기때 보증금은 바로 회수받아야해서요
전세계약 확정일자에 대해 질문드립니다. 저는 혼자 자취하고 있는 직장인입니다. 기존 A 전세집 만기가 24.6.11.자로 만기되었는데, 집주인이 9월 말까지 보증금을 돌려주기로 했습니다. (기존 A 전세집 확정일자와 전입신고 ○) 위 상태로 새로운 전세집 B를 계약을 하려고 합니다. 새로운 전세집 이사는 10월말으로 기간이 많이 남았지만 집이 마음에들어 계약을 먼저하고, 확정일자만 받은 상태로 9월말 A집 집주인에게 보증금을 받아 10월 이사하여 전입신고 할 예정입니다. 여기서 궁금한게 1. 미리 B집을 계약하고 확정일자를 받게 되면 A집에 받아놓은 확정일자가 효력을 잃게 되는지 (A,B 두 집에 유효한 확정일자가 유지되는지) 2. B집에 대한 새로운 계약서 작성으로 A집 보증금에 대해 문제가 생기진 않는지 여부가 궁금합니다.
👆 보고 있는 글
집값 다시 올라가나?초고가 아파트 외에도 서울 집값이 오른다는 뉴스가 종종 보인다.다시 집값은 상승할까?힌트를 찾으려면, 그동안 집값이 떨어진 이유를 명확히 해야 할 것 같다.첫째, 누가 뭐래도 급격한 금리 인상이다. 여기서 나는 금리가 오르면 집값이 떨어진다는 반비례 관계를 말하는 게 아니다. 2021년 당시에는 문재인 정권에서 집값을 잡기 위해 노력했고 기준금리와 주택 담보 대출 금리 또한 2% 넘게 차이가 났었다.둘째, 투자 심리가 꺾였다. 한국은행 경제통계시스템을 보면 2022년 부터 급격하게 주택 가치 전망을 부정적으로 평가하는 사람이 많았다. 부동산에서 수요, 공급 보다 때로는 더 중요할 수 있는 것이 바로 이 심리다.현재 금리에 대한 추이와 투자 심리가 어떤지 살펴보자.금리 okay심리도 not bad서울은 확실히 공급 부족함... ㅎㅎ오늘은 여기까지 ~~~
안녕하세요.작년 9월에 기업은행 안심전세대출로 8천만 원을 대출받고, HUG 전세보증보험에도 가입했습니다. 곧 재계약을 앞두고 집주인과 상의하여 전세금을 2,500만 원 감액하려고 합니다. 이에 대해 몇 가지 궁금한 점이 있습니다.IBK 안심전세대출은 채권양도가 되어 있어 보증금 감액 시 집주인이 저에게가 아닌 은행에 돈을 보내야 하는 것이 맞나요?만약 그렇다면, 집주인이 은행에 2,500만 원을 송금하면 제 대출 8천만 원에서 바로 차감되는 건가요? (잔여 대출금이 5,500만 원이 되는지)대출받을 때 가입했던 전세보증보험을 연장하려고 하는데, 재계약 날 대출금을 모두 상환할 예정입니다. 이 경우 대출이 없어지더라도 최초 대출 시 가입했던 전세보증보험은 그대로 연장될 수 있나요? 그리고 기업은행에서 최초로 보증보험에 가입한 경우, 보증보험 연장을 위해 기업은행에 직접 방문해야 하나요?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