깡통 전세 위험이 36%라고 뜨는데, 이게 정확히 어떤 의미인가요?
- 2025-02-21
- 전세안심리포트

'2025-02-21'에 고객님께서 문의 주신 상담 화면이며,
아래 내용은 해당 상담을 텍스트로 정리한 내용입니다
여보세요?
오후 05:35네, 고객님. 세이프홈즈 고객센터입니다.
네, 안녕하세요. 늦게 연락드려서 죄송합니다.
오후 05:41아닙니다, 고객님! 어떤 점이 궁금하셔서 연락 주셨을까요?
제가 리포트를 받아봤는데, 전세 대출이랑 보증보험 가입이 불가능하다고 나와 있어서요. 깡통 전세 위험이 36%라고 뜨는데, 이게 정확히 어떤 의미인지 궁금해서 연락드렸어요.
오후 05:45네, 고객님. 우선 보증보험 부분부터 설명드릴게요. 혹시 리포트 6페이지를 한 번 확인해보실 수 있을까요
네, 잠시만요... 네, 확인했습니다.
오후 05:48보시면 고객님의 전세 보증금이 8,500만 원인데요. 하단에 작은 글씨로 보증보험 가입 기준이 보증금 8,179만 6,500원 이하라고 나와 있을 거예요.
아, 네네 보이네요.
오후 05:53그래서 보증보험 가입이 안 되는 이유는 깡통 전세 때문이라기보다는, 주택가액 대비 보증금이 높기 때문이에요.
즉, 보증보험사가 정한 보증금 한도를 초과해서 가입이 불가능한 거죠.
그럼 해결 방법은 없을까요?
오후 05:56만약 임대인과 협의가 가능하다면, 보증금을 8,179만 원 이하로 조정하거나, 반전세 형태로 조정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예를 들어, 보증금을 낮추는 대신 일정 금액을 월세로 내는 방식이죠.
그런데 깡통 전세 위험이 38%라고 나오는데, 이런 집은 계약하기 좀 위험하지 않나요?
오후 06:00맞습니다. 다만, 보증보험이 가입만 된다면 깡통 전세라도 큰 문제는 없습니다. 현재 고객님의 집 시세가 8,500만 원, 보증금도 8,500만 원이라서 위험도가 높은 편이긴 하지만,
다행히 최우선변제금 적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100% 위험한 상황은 아닙니다.
아, 그래도 보증보험 가입이 가능하면 그나마 안전하겠네요.
오후 06:05네, 맞습니다. 그래서 보증보험이 가능한 조건으로 조정하는 게 가장 중요해요.
전세대출도 마찬가지 이유로 불가능한 건가요?
오후 06:10네, 저희는 HUG 보증보험을 기준으로 전세대출 가능 여부를 안내하는데요. HUG 보증보험이 연계된 상품이라 보증보험이 안 되면 대출도 불가능하게 나오는 거예요.
하지만 HF(주택금융공사) 보증서를 이용하면 가능성이 있을 수도 있습니다.
아, 그럼 HF 보증서로 하면 대출은 가능하지만, 보증보험은 여전히 안 될 수도 있는 거네요?
오후 06:14네, 맞아요. 다만 HF 보증서는 별도로 심사를 넣어야 하기 때문에 은행에 직접 확인해보시는 게 가장 정확할 것 같습니다.
아, 그렇군요. 그런데 최근 거래 내역도 봤더니 비슷한 평형이 9,200만 원에도 거래된 적이 있다고 나오더라고요. 그러면 보증보험 심사에서 가능성이 있지 않을까요?
오후 06:18네, 실제로 비슷한 평형이 9,200만 원에도 거래된 적이 있고, 올해에도 8,500만 원~1억 원 사이로 거래된 기록이 있습니다.
그렇지만 보증보험에서는 공시가격(6,491만 원)도 참고하기 때문에 심사 결과가 달라질 수 있어요. 그래서 은행과 보증보험사에 직접 심사를 넣어보는 게 확실할 것 같습니다.
아, 네 알겠습니다. 정리가 잘 됐어요! 혹시 추가로 궁금한 점이 생기면 카톡으로 문의드려도 될까요?
오후 06:21물론이죠! 언제든 편하게 문의 주세요. 빠르게 답변드리겠습니다.
네, 감사합니다. 좋은 하루 보내세요!
오후 06:26네, 고객님도 좋은 하루 보내세요! 😊
💡 세이프홈즈 솔루션
세이프홈즈는 보증보험 가입이 불가능한 원인을 상세히 분석하고, 보증금을 조정하거나 반전세로 변경하는 대안을 제시했습니다. 또한 전세대출이 가능한 보증서를 안내하고, 거래 시세와 보증보험 심사 기준을 비교해 현실적인 계약 전략을 제공했습니다. 이를 통해 고객이 보다 안전한 전세계약을 체결할 수 있도록 신뢰할 수 있는 정보와 해결책을 지원했습니다.
홈즈 추천상품전세안심리포트부동산 도장찍기 전, 반드시 사용해야하는 필수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