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금 세이프홈즈 앱 설치하면
전·월세 계약 체크리스트 E-BOOK 무료 증정!

그럼 이 건물이 전체적으로 8억 900만 원짜리라는 건가요?

  • 2025-02-06
  • 전세안심리포트
  • KB시세
포스팅 메인 이미지

'2025-02-06'에 고객님께서 문의 주신 상담 화면이며,
아래 내용은 해당 상담을 텍스트로 정리한 내용입니다

네, 방금 전화드렸는데요.

오후 04:25
오후 04:28

네, 고객님. 어떤 점이 궁금하신가요?

리포트를 보니까 건물 가격이 8억 900만 원으로 나와 있는데, 이게 건물 전체 가격인가요?

오후 04:29
오후 04:31

네, 맞습니다. 현재 저희가 추정하는 시세로 8억 900만 원으로 산정되었습니다.

그럼 이 건물이 전체적으로 8억 900만 원짜리라는 건가요?

오후 04:34
오후 04:35

네, 저희 시스템에서 감정평가 데이터를 활용하여 추정된 금액입니다. 다만, 실거래가가 없거나 KB시세가 없는 경우 감정평가 데이터를 기반으로 시세를 산정합니다.

그런데 근저당 채권최고액이 8억 9,400만 원으로 나와 있던데, 이게 어떻게 된 건가요?

오후 04:38
오후 04:41

근저당권에 설정된 금액은 실제 대출금보다 높게 설정됩니다. 보통 채권최고액은 실제 대출금의 120~130%로 설정되기 때문에, 실제로 집주인이 대출받은 금액은 7억 ~ 8억 원 사이일 가능성이 큽니다.

그럼 정확한 시세를 알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하나요?

오후 04:44
오후 04:45

다가구주택의 경우 실거래가 데이터가 부족하기 때문에 시세 산정이 쉽지 않습니다. 정확한 시세를 알고 싶다면 감정평가사에게 별도로 의뢰하시거나, 집주인에게 감정평가서를 직접 확인하는 요청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부동산 중개인에게 물어보는 건 어떨까요?

오후 04:46
오후 04:49

중개인도 정확한 시세를 알기는 어렵습니다. 대략적인 예상가는 알려줄 수 있지만, 실제 매매가는 변동될 수 있습니다. 다가구주택은 거래가 자주 이뤄지는 아파트와 달리, 실거래가 정보가 부족하기 때문에 감정평가를 통해야 가장 정확한 시세를 알 수 있습니다.

리포트의 6페이지를 보니까 거래 사례가 나와 있는데, 이 금액은 실제 거래된 건가요?

오후 04:50
오후 04:51

네, 해당 데이터는 실제 매매 사례를 기반으로 제공됩니다. 주변 비슷한 규모의 건물들이 어느 정도 금액에 거래되었는지 참고하실 수 있습니다.

아, 그러니까 주변 거래 사례를 참고했을 때 8억 900만 원 정도로 예상된다는 거군요.

오후 04:53
오후 04:56

네, 맞습니다. 다만, 다가구주택은 개별 세대가 아닌 전체 건물 기준으로 평가되기 때문에 참고 자료로 활용해 주시면 됩니다.

네, 이해됐습니다. 답변 감사합니다!

오후 04:58
오후 04:61

네, 고객님. 추가 문의사항 있으시면 언제든지 연락 주세요. 감사합니다! 😊

💡 세이프홈즈 솔루션

고객이 다가구주택의 정확한 시세를 알고 싶어 했으나, KB시세 및 실거래가 정보가 없어 혼란스러워하는 상황이었습니다. 세이프홈즈는 감정평가 데이터를 활용해 시세를 추정하고, 근저당권 설정 금액과 실제 대출금의 차이를 설명해드렸습니다. 또한, 다가구주택의 시세 산정 방식과 정확한 시세를 확인하는 방법(감정평가 또는 집주인 확인)을 안내하여 고객이 합리적인 판단을 내릴 수 있도록 도와드렸습니다.

홈즈 추천상품전세안심리포트부동산 도장찍기 전, 반드시 사용해야하는 필수템

다음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