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민상담
나비저한테만 안보이는건지..
기분탓인가요 ㅠㅠ
- 3
- 438
다음 글📖
- 임대인입니다. 부동산에서 전세계약갱신 희망합니다
임차인이 전세갱신권을 사용한다고 하여, 전세계약갱신을 부동산에서 전세갱신권을 사용한다고 명확히 계약서를 쓰고 싶습니다.임차인은 부동산수수료가 든다고 부동산에서 계약갱신을 하기를 거부하고 있습니다. 계약서를 안쓰면 자동갱신이 되어 저에게 불리할거 같은데(전세기간갱신권이 사용되지 않고 남게 됩니다) 어떻게 임차인에게 이야기해야할까요?
전세 보증보험은 많이 들어봤는데, 월세는 잘 모르겠네요아시는 분 있으신가요
저한테만 안보이는건지.. 기분탓인가요 ㅠㅠ
👆 보고 있는 글
고시원 vs 오피스텔제가 달에 80만원 정도 예산을 부모님께 받습니다. 현재 고시원 월세 40정도에 살고 용돈 40해서 80정도 받고1주일에 5만원정도 부모님카드를 사용합니다. 약 달에 100만원정도 사용한다고 보시면 됩니다. 근데 제가 지금 고민이 있는게 학원을 다니지 않고 공부만을 하기 위해서 고시원에 들어왔습니다. 혹시 고민인게 고시원에 살다보면 책상도 좋지 않아 공부의 집중도 잘 안되고 의자도 안좋고 그렇다고 책상의자를 사서 넣을만한 공간도 좁고 주방도 멀리있고 공용에 냉장고도 공용인데다가 내용물도 넣을공간도 없어서 주방에서는 가끔 라면정도만 끓여먹고 근처 식당에서 밥을 사먹고 있습니다. 그런데 제가 고민이 있는게 차라리 오피스텔이나 원룸을 살까 합니다. 저는 화장실 부엌 냉장고 옷장만 있으면 되서 메트리스나 책상, 의자와 같은 물품은 원래 제가 있는돈으로 구매할려고 합니다. 보증금은 부모님께서 내주시고 월세는 40정도 생각하고 있습니다. 그래서 공부책상도 별로 안좋고 해서 가끔 시간단위로 스터디 카페를 사용합니다. 여기서도 어느정도 용돈에서 차감 됩니다. 스터디 카페로 달에 약 5만원 정도 1. 고시원에서 그냥살기 (월세는 조금 저렴하고 관리비도 없지만 공부 공간이 부족하고 스터디카페와 외식 비용으로 돈이 상당히 많이 들음) 2. 원룸이나 오피스텔 월세, 관리비해서 약 50만원정도에 살고 요리해먹고 생활비로 살기1,2 중에 어떤 방안이 괜찮을까요?
전세계약 하려는 집 주인이무슨 불법건축? 이런걸로 걸려서 대출이 안나오는 집이라걱정하지말라고 하고전세보증보험 가입이 안된다는데 진짜 가입이 안되나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