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집은 결국 말소 조건을 지키는 게 핵심이네요?
- 전세안심리포트
- 근저당말소
- 2025-02-04
'2025-02-04'에 고객님께서 문의 주신 상담 화면이며,
아래 내용은 해당 상담을 텍스트로 정리한 내용입니다
아, 오늘 리포트 받아봤는데요. 몇 가지 좀 여쭤볼게요.
네, 고객님! 저희도 리포트 보면서 설명 도와드릴게요. 어떤 부분이 궁금하신가요?
집주인이랑 얘기해서 근저당 말소 조건으로 계약하려고 하는데, 그렇게 하면 위험도가 좀 달라지나요?
아, 근저당이 3억 9,600만 원 정도 잡혀 있는데, 전부 말소 조건으로 진행하는 거 맞으시죠?
네, 맞아요. 은행에서도 말소 조건 계약서를 받아야 진행된다고 하더라고요.
네, 그러면 위험도는 낮아지지만, 보증금도 보증보험 가입 가능한 금액 이내로 조정하는 게 좋아요. 현재 추정 시세는 2억 9,387만 원인데, 여기에 보증보험 가입 기준(90%)을 적용하면 2억 6,440만 원 이하로 보증금을 낮추는 게 안전합니다.
그럼 2억 6,400만 원 정도로 맞추면 되겠네요?
습니다. 보증보험사에서도 대략적인 시세 기준으로 심사하기 때문에, 그 범위 내에서 보증금을 조정하면 가입이 가능할 확률이 높습니다.
보증보험은 언제 신청해야 하나요? 계약할 때 하는 건가요, 잔금 치를 때 하는 건가요?
보통 전입신고하고, 잔금 지급 후, 등기부등본이 깨끗한 상태에서 신청하는 게 일반적이에요.
아하, 정리하자면 근저당이 말소되고, 보증금을 100만 원 낮추면 보증보험 가입이 가능하다는 거죠?
네, 맞아요. 추가로 계약서에 “근저당 말소 조건”을 특약으로 명확하게 명시하는 것도 중요합니다.
만약 집주인이 말소를 안 하면 어떻게 되나요?
그게 가장 중요한 부분이에요. 잔금을 치른 후 근저당이 말소되지 않으면 위험 부담이 생깁니다. 보증보험도 가입이 어려워질 수 있어요.
그럼 특약에 “잔금 지급 후 근저당 말소 필수” 같은 내용을 꼭 넣어야겠네요?
맞습니다. “근저당 말소 후 보증보험 가입이 가능해야 한다”는 조건을 명확히 넣으시면 돼요.
혹시 계약 후에도 추가로 보호받을 수 있는 서비스가 있나요?
네! 등기부 변동 알림 서비스를 신청하면 근저당 설정이나 임대인 변경 등을 실시간으로 확인 가능하고, 계약 후 내용증명 발송 및 임차권 등기 신청 지원 서비스도 제공됩니다.
이 집은 결국 말소 조건을 지키는 게 핵심이네요?
맞아요. 말소가 안 되면 보증보험 가입이 어려워지고, 근저당이 높은 집은 경매 시 위험할 수 있어서 반드시 말소 후 진행하는 게 중요합니다.
네! 특약만 잘 명시하면 훨씬 안전한 거래가 될 거예요. 추가로 궁금한 점 생기면 언제든지 문의 주세요! 😊
네, 감사합니다!
💡 HOMES SOLUTION
고객님의 전세 계약이 보다 안전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근저당 말소 조건을 특약에 명확히 기재하도록 안내해 드렸습니다. 또한, 보증보험 가입 가능 금액(2억 6,400만 원 이하)으로 보증금을 조정하면 더욱 안전하게 보호받을 수 있다는 점을 설명드렸습니다.
전세안심리포트
부동산 도장찍기 전, 반드시 사용해야하는 필수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