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포스팅 메인 이미지](https://safe-community.s3.ap-northeast-2.amazonaws.com/media/etc/b63D934e235f8-63cc-410d-b23d-1b5ac098702f.png)
안전한 전세 계약 절차, 초보자를 위한 쉬운 가이드
- 집 내부 & 외부 꼼꼼하게 점검하기
- 전세보증보험 가입 고려하기 (전세사기 예방)
- 전입신고 & 확정일자 꼭 받기
- 계약 후 등기부등본 다시 확인하기
전세 계약, 처음 해보는 사람들에게는 어렵고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어요. 계약 과정에서 실수하면 전세 사기나 보증금 문제로 골치 아플 수도 있죠. 하지만 차근차근 단계를 밟아가면 안전하게 전세 계약을 진행할 수 있어요!
이번 글에서는 전세 계약 절차를 쉽게 설명해드릴게요. 전세 계약 전에 준비해야 할 것부터 계약하는 법, 그리고 계약 후 해야 할 일까지 한 번에 정리해볼게요.
1. 전세 계약 전, 이것부터 준비하세요!
전세 계약을 하기 전, 미리 정해둬야 할 것들이 있어요. 계약 전에 꼼꼼하게 준비하면 나중에 후회할 일이 없답니다.
1) 출퇴근 거리 체크하기
집이 아무리 좋아도 출퇴근 시간이 너무 길면 힘들어요. 직장이나 학교까지의 거리, 대중교통 편의성, 도로 정체 등을 고려해서 위치를 정하는 게 중요해요.
2) 방 개수와 구조 정하기
혼자 사는지, 가족과 함께 사는지에 따라 방 개수가 달라질 수 있어요.
- 혼자 산다면 원룸이나 1.5룸 정도면 충분하지만,
- 가족과 함께라면 최소 방 2개 이상은 필요하겠죠?
또, 화장실 개수나 수납공간 같은 것도 미리 체크해두는 게 좋아요.
3) 예산 설정하기
전세 계약에서는 내가 감당할 수 있는 최대 예산을 정하는 게 가장 중요해요.
- 보유한 자금과 대출 가능 금액을 합쳐서 최대 전세금을 정하고,
- 정부 지원 전세대출(버팀목 대출, 청년 전세대출 등)도 알아보면 좋아요.
💡 TIP! 전세대출을 활용하면 초기 비용 부담을 줄일 수 있고, 월세보다 경제적일 수도 있어요.
4) 아파트 vs 오피스텔 vs 빌라, 어떤 집이 좋을까?
어떤 유형의 집을 선택할지도 미리 고민해야 해요.
- 아파트는 관리비가 좀 비싸지만, 주거 환경이 쾌적하고 편리해요.
- 오피스텔은 보통 역세권에 있어서 출퇴근이 편리하지만, 방이 좁을 수도 있어요.
- 빌라는 전세금이 비교적 저렴하지만, 주차 공간이나 관리가 불편할 수도 있어요.
5) 전세 vs 반전세 vs 월세, 계약 유형 정하기
전세는 한 번에 큰돈을 맡기지만, 매달 월세를 내지 않아 부담이 적어요.
- 반전세(준전세)는 전세금 일부를 내고, 매달 약간의 월세를 내는 방식이에요.
- 월세는 초기 자금 부담이 적지만, 매달 월세를 내야 해서 장기적으로 보면 비용이 많이 들 수 있어요.
2. 전세 계약, 이렇게 진행하세요!
1) 믿을 수 있는 공인중개사 만나기
부동산 거래는 반드시 공인중개사를 통해 진행하는 게 안전해요. 네이버 부동산, 직방, 다방 같은 부동산 앱을 활용하면 다양한 매물을 볼 수 있어요. 해당 지역에서 오랜 기간 활동한 믿을 만한 공인중개사를 선택하는 게 좋아요.
2) 집 내부 & 외부 꼼꼼히 체크하기
집을 직접 방문해서 꼼꼼하게 확인하는 것이 가장 중요해요.
✅ 내부 점검 리스트
✔️ 벽 & 천장 곰팡이 확인
✔️ 수도 & 화장실 배수 상태 체크
✔️ 창문 & 방문 잠금 장치 정상 작동 여부 확인
✔️ 보일러 & 냉난방 시설 체크
✅ 외부 점검 리스트
✔️ 주차 공간 충분한지 확인
✔️ 근처 편의시설(마트, 병원, 공원 등) 확인
✔️ 방범시설(CCTV, 공동현관 보안 등) 체크
집 내부와 외부를 꼼꼼히 살펴봐야 나중에 후회할 일이 없어요!
3) 전세대출 가능 여부 확인하기
전세대출을 받을 예정이라면, 계약 전에 대출 한도와 조건을 확인하는 게 좋아요. 전세 계약을 하면 확정일자가 필요할 수도 있으니 미리 은행과 상담해보는 게 좋아요!
4) 전세보증보험 가입 고려하기
전세보증보험을 가입하면, 집주인이 보증금을 돌려주지 않더라도 보험사가 대신 보증금을 지급해줘요. 전세 사기를 예방하는 좋은 방법이니 꼭 검토해보세요!
5) 계약 전, 가계약금 입금 주의하기!
가계약금을 보낼 때는 반드시 집주인 본인 계좌로 이체해야 해요. 대리인 계좌로 보냈다가 문제가 생길 수도 있으니 조심하세요!
3. 전세 계약 후, 꼭 해야 할 일
전세 계약을 마쳤다고 끝이 아니에요. 보증금을 안전하게 지키기 위해 꼭 해야 할 일들이 있어요.
1) 전입신고 하기
전입신고를 하면 법적으로 대항력이 생겨, 계약한 집에 계속 거주할 권리가 보호돼요.
- 주민센터 방문 or 정부24에서 온라인 신고 가능
2) 확정일자 받기
확정일자를 받아 두면, 집이 경매로 넘어가더라도 보증금을 우선적으로 받을 수 있는 권리가 생겨요.
- 확정일자는 주민센터나 인터넷등기소에서 받을 수 있어요.
3) 임대차 신고제 확인
2021년부터 시행된 임대차 신고제에 따라 보증금 6천만 원 이상이면 신고가 필수예요.
- 주민센터 방문 or 정부24에서 신고 가능
4) 등기부등본 다시 확인하기
전세 계약 후에도 등기부등본을 한 번 더 확인하는 게 좋아요.
- 집주인이 바뀌었거나, 추가 대출이 잡혔는지 체크해보세요.
전세 계약이 처음이라 어려울 수도 있지만, 하나씩 차근차근 따라가면 안전하게 진행할 수 있어요. 보증금을 안전하게 보호하는 게 가장 중요한 만큼, 신중하게 준비하세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