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대인(집주인), 임차인(세입자)의 권리와 의무를 알고 싶다면?
부동산백과 임대인(집주인), 임차인(세입자)의 권리와 의무를 알고 싶다면?

부동산백과

세이프홈즈
임대인(집주인), 임차인(세입자)의 권리와 의무를 알고 싶다면?

세이프홈즈는 부동산 정보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해 2030 사회초년생을 대상으로한 컨텐츠를 발행합니다.

오늘은 부동산 임대와 임차에 대해 이야기해 보려고 해요. 특히 사회초년생들에게는 처음 집을 구하고 계약을 맺는 과정이 어렵고 복잡하게 느껴질 수 있기 때문에 이 글을 끝까지 읽어보시는 것을 추천드려요.

1 임대인? 임차인?

임차인이란 임대차 계약을 통해서 일정한 비용을 내고 부동산을 빌려서 사용하는 사람을 말해요. 흔히 '세입자'라고도 불리죠. 임차인은 집주인인 임대인에게 돈을 내고 집을 빌려 쓰는 입장이에요.
임대인은 임대차 계약에 따라 돈을 받고 다른 사람에게 주택이나 상가를 빌려주는 사람을 말해요. 흔히 ​'집주인'​이라고 하죠. 임대인은 자신의 집을 다른 사람이 사용할 수 있도록 빌려주고, 그 대가로 임대료를 받습니다. 
이제 임대인과 임차인의 주요 의무를 쉽게 설명해 드릴게요!

2 임대인(집주인)의 의무

본문 이미지

① 주택을 안전하고 살기 좋은 상태로 유지하기

임대인은 임차인이 주택을 안전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유지해야 해요. 예를 들어, 건물의 구조적 문제나 전기, 배관 문제를 신속하게 해결해야 합니다. 주택에 문제가 생기면 즉시 수리해 주는 것이 임대인의 중요한 역할이에요.
🧾 법적 근거 :  「민법」 제623조 

② 수리 의무

만약 주택에 큰 문제가 생기면, 임대인은 이를 고칠 의무가 있어요. 임차인이 문제를 보고하면 빠르게 조치해야 하죠. 예를 들어, 물이 새거나 전기가 나가는 등 생활에 불편을 주는 문제들은 임대인이 해결해야 합니다.
🧾 법적 근거 :  「민법」 제623조

③ 사생활 보호
임대인은 임차인의 사생활을 존중해야 해요. 특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임차인의 허락 없이 집에 들어올 수 없습니다. 만약 집을 방문해야 할 일이 생기면, 최소 24시간 전에 미리 알려줘야 해요.
🧾 법적 근거 :  「민법」 제20조

무단 주거침입, 집주인이라도 처벌되나요? 글도 읽어보세요 :)

④ 보증금 반환

계약이 끝나면 임대인은 보증금을 돌려줘야 합니다. 물론, 임차인이 집에 손해를 입혔다면 그 수리 비용은 보증금에서 뺄 수 있어요. 하지만 정상적인 사용으로 인한 마모나 손상은 임차인의 책임이 아니에요.
🧾 법적 근거 :  「민법」 제655조

3 그럼 임차인의 의무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요?


본문 이미지
① 임대료 납부
임차인은 매달 정해진 날짜에 임대료를 제때 지불해야 해요. 만약 임대료를 늦게 내면 추가 비용이 발생할 수 있고, 심한 경우 퇴거 조치가 취해질 수 있으니 주의해야 합니다.
🧾 법적 근거 :  「민법」 제618조

② 주택 관리

임차인은 집을 깨끗하고 안전하게 유지해야 해요. 쓰레기를 적절히 처리하고, 집을 손상시키지 않도록 주의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만약 집에 작은 문제가 생기면 즉시 임대인에게 알려줘야 해요. 작은 문제가 큰 문제가 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좋아요.
🧾 법적 근거 :  「민법」 제610조

③ 계약 조건 준수
임차인은 계약서에 명시된 조건을 지켜야 해요. 예를 들어, 임대인의 허락 없이 집을 다른 사람에게 빌려주거나, 계약서에서 금지한 애완동물을 키우지 않아야 해요.
🧾 법적 근거 :  「민법」 제629조

임대인과 임차인의 의무를 잘 이해하면 서로 간의 불필요한 갈등을 줄일 수 있어요. 처음 집을 구하는 과정이 어렵게 느껴질 수 있지만, 기본적인 의무를 알면 훨씬 더 수월해질 거예요. 

부동산에 대해 더 궁금한 점이 있다면, 세이프홈즈 커뮤니티 물어보세요! 질문만 해도 스타벅스 아메리카노 쿠폰을 드려요!

  • 부동산백과0
  • 부동산백과1112

다음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