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년 부동산 중개수수료 가격 계산부터 네고까지
부동산백과 2024년 부동산 중개수수료 가격 계산부터 네고까지

부동산백과

세이프홈즈
2024년 부동산 중개수수료 가격 계산부터 네고까지


세이프홈즈는 부동산 정보불균형을 해소하기 위해

2030 사회초년생을 대상으로 한 컨텐츠를 발행합니다.


전세, 매매, 월세 등 부동산 계약 시 발생되는 비용이 있습니다.

바로 '부동산 중개수수료'인데요.


여러분은 부동산 계약할 때 부동산 중개수수료를 얼마나 지불하시나요?

혹시 한도액이 얼마인지 몰라서 법정 한도보다 더 높은 금액을 지불하진 않으셨나요?


부동산 거래 시 중개인과의 만남과 계약은 필수적입니다.

그렇기에 이때 발생하는 부동산 중개수수료를 얼마나 지불해야 하는지 부동산 중개수수료 계산기는 어떻게 사용하는지에 대해 반드시 숙지하셔야만 계약을 할 때 유리한 상황을 만들 수 있습니다.



즉, 정확한 부동산 중개수수료 및 실비의 기준과 한도를 알고 있어야 합니다.


1. 부동산 중개수수료 꼭 내야 할까요?




「공인중개사법」 제32조 제1항 본문에 의하면 개업공인중개사는 중개업무에 관하여 중개인으로부터 소정의 보수를 받는다. 라고 명시되어 있습니다.


이에 개업공인중개사는 부동산거래정보망에 중개대상물에 관한 정보를 거짓으로 공개해서는 안되며, 해당 중개대상물의 거래가 완료되면 지체없이 이를 거래 정보 사업자에게 통보해야 합니다.

- 「공인중개사법」 제24조 제7항


2. 부동산 중개수수료, 얼마가 적당할까?


그렇다면 중개수수료는 어느 정도가 적당할까요?

얼마를 지불해야 적당한지 파악하기 위해서는 먼저 부동산 중개수수료율에 대해 알아야 합니다.


중개 수수료율은 주택인지 오피스텔인지 주택 유형과 매매와 임대차계약에 따라서도 달라지기 때문에 본인이 거주하는 부동산 형태와 계약을 먼저 확인해야 합니다.


* 서울 · 경기도 기준 *

< 주택일 경우 > 



먼저 주택의 경우 5천만원 미만의 매매·교환이라면 상환요율이 0.6%가 적용되어 한도액은 최대 25만원으로 정해져 있습니다.


5천만 원 이상 ~ 2억원 미만일 시 상한 요율이 0.5%가 적용되어 한도액은 최대 80만원,


2억원 이상 ~ 9억원 미만일시 상한 요율이 0.4%가 적용됩니다.


2억원 이상일 때부터는 한도가 정해져 있지 않은 것이 특징입니다.



< 오피스텔의 경우 >




오피스텔의 경우 매매/교환이라면 상한요율이 0.5%로 정해져 있습니다.


< 주택이외(토지, 상가 등)의 경우 >



주택이외 토지, 상가의 경우 매매/교환, 임대차 등이라면 상한요율은 거래금액의 0.9%입니다.


< 고급 주택의 경우 >


☞ 법정중개보수 한도 (매매·교환 0.9%, 임대 0.8%) 안에서 중개의뢰인과 중개업자 간의 상호 협의에 의함


☞  법정중개보수 한도 0.9% 이내 범위안에서 실제 중개업자가 받고자 하는 중개보수의 상한요율을 부동산 중개보수요율표에  명시하며, 명시된 요율안에서 중개의뢰인과 중개업자가 서로 협의하여 결정함


매매/교환과 임대차 계약은 다르게 정해져 있습니다. 이 점을 명시하여 부동산 거래 유형을 먼저 파악한 후 한도 요율을 따져보아야 합니다.


* 부동산 중개수수료는 지역마다 편차가 있을 수 있습니다.


3. 네이버 중개 보수 계산기 이용하기




TIP) 복잡한 수식들을 계산할 필요 없이 네이버 부동산 중개보수 계산기를 이용하면  간단하게 계산 할 수 있습니다.


​네이버에 '부동산 중개수수료 계산기'를 검색하여 매물종류, 거래지역, 거래종류, 거래금액을 입력하고 계산하기를 누르면 중개수수료 상한요율을 알 수 있습니다. 이때  부동산 중개인과 사전 네고가 되어있지 않다면 상한 요율로 계산이 된다는 점을 알아두셔야 합니다.


4. 중개수수료 네고 가능할까?





미리 말하자면 부동산 중개수수료는 네고가 가능합니다.


국토교통부는 중개사가 수수료율을 협상할 수 있다는 내용을 사무소에 게시하고 의뢰인에게 고지하도록 의무화했습니다.

중개사가 의뢰인에게 최고요율만 요구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서입니다.


​예를 들어, 6억원 아파트를 매매할 때 최고요율이 0.4%라면 공인중개사는 최대 240만 원 이내에서 의뢰자와 협의해야 합니다.


즉, 최고 요율 내에서 공인중개사와 협상을 통해 중개수수료를 조율할 수 있습니다.

부동산 중개업자에게 수수료를 지불하기 전에 내가 의뢰한 집의 최고요율을 확인하고, 미리 협상 마인드를 갖고 가는 것이 좋습니다.


5. 마무리하며




한도요율은 법정 수수료가 아닙니다

​부동산이 중개료를 많이 받을 수 없도록 국가에서 정해놓은 한도금액일 뿐입니다.

한도요율 내에서 협의하여 중개수수료를 조율할 수 있습니다.


한도 요율에 대해 명확히 이해하고 미리 요율을 계산해 간다면 부동산 거래 시 중개인과의  원활한 협상을 이루는 데 큰 도움이 됩니다.


부동산 중개수수료는 부동산 거래 과정에서 빼놓을 수 없는 부분입니다.

​따라서 적절한 중개수수료 비용을  계산하고 네고하여 중개 서비스를 최대한 활용해야 합니다.


​사회 초년생에게 중개수수료는 이사 갈 때 부담되는 비용 중 하나일 텐데요.

지금부터 소액일지라도 용기 내어 중개수수료 협상을 시도해 보는 것은 어떨까요?


궁금한 점이 있다면 아래 질문하기 버튼을 통해 질문해 주세요!


  • 부동산백과0
  • 부동산백과1666

다음 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