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민상담
혜민현재 임대사업자의 다가구 주택에 11개월 거주중입니다. 임대사업자이나 임대보증보험을 들지않아도 되는 조건의 건물이라며 보증보험은 따로 들어주시지 않았습니다. 전세리포트 확인시 안전하나 보증보험에 들지 못하는 건물이라고 나오는데, 97.5%로 안전한 건물이라고 뜨면 보증보험을 들지않아도 괜찮을까요? 첫 자취이기도하고 요즘 보증금 못 돌려받으시는 분들이 많아 걱정입니다.
3
244
다음 글📖
- 보증보험을 가입 못했는데 만기가 다가오는 지금 집주인이 연락이 안됩니다.
전월세 계약서 상으로는 2개월전 퇴실 의사 전달하라는 말이 있어서 문자로 3개월전 퇴실 통보 문자 읽은 후 답장이 없어서 2개월전 퇴실 통보 했고 현재 25.01.27 퇴실 예정인데 지속적으로 연락시도를 했으나 집주인이 연락을 안받습니다. 전월세계약을 진행했던 부동산 측과의 전화 통화 했고 현재 거주중인 부동산에 대해 어떠한 이야기도 전달 받지 못했다는 이야기를 전달 받았고 현재도 집주인과의 연락은 불통 입니다 여기서 제가 궁금한 점은 1. 보증보험이 없어도 임차권등기를 신청 그 후 내용증명을 통해 대항력을 가질 수 있는지 2. 25년01월27일에 바로 퇴실 하는게 아닌 임차권등기 접수 후 2~3주 후 이사를 가는게 맞는지 3.중기청 전세대출로 들어온 집이라 전세대출을 연장 해야 하는지 4.계약 만료일로부터 2주가량 남은 시점에서 제가 뭘 준비하고 어떤행동을 해야하는지 궁금합니다
![부동산 전세계약 고민상담 보증보험을 가입 못했는데 만기가 다가오는 지금 집주인이 연락이 안됩니다.](/asset/img/blog/comment-icon.png)
![부동산 전세계약 고민상담 보증보험을 가입 못했는데 만기가 다가오는 지금 집주인이 연락이 안됩니다.](/asset/img/blog/hit-icon.png)
[ 현재 상황 ] 기존집 원룸전세 살다가 새집으로 들어가서 전입신고를 한 상황이고, 기존집 전세금을 몇달째(약6개월이상) 못받는 상황이며, 빈집 상태입니다 (준다 준다 하면서 계속 미루고 미루는 상황) [ 질문 ] 지금이라도 임차권등기 신청하려는데, 문제되려나요?
![부동산 전세계약 고민상담 새집 전입신고 후 기존집 임차권등기](/asset/img/blog/comment-icon.png)
![부동산 전세계약 고민상담 새집 전입신고 후 기존집 임차권등기](/asset/img/blog/hit-icon.png)
현재 임대사업자의 다가구 주택에 11개월 거주중입니다. 임대사업자이나 임대보증보험을 들지않아도 되는 조건의 건물이라며 보증보험은 따로 들어주시지 않았습니다. 전세리포트 확인시 안전하나 보증보험에 들지 못하는 건물이라고 나오는데, 97.5%로 안전한 건물이라고 뜨면 보증보험을 들지않아도 괜찮을까요? 첫 자취이기도하고 요즘 보증금 못 돌려받으시는 분들이 많아 걱정입니다.
![부동산 전세계약 고민상담 97.5% 보증보험 들지않아도 안전한가요?](/asset/img/blog/comment-icon.png)
![부동산 전세계약 고민상담 97.5% 보증보험 들지않아도 안전한가요?](/asset/img/blog/hit-icon.png)
👆 보고 있는 글
전세금 반환 지금 명령과 소송안녕하세요 현재 2월 5일 만기에 집주인이 돈이 없어서 못준다고 하는 상황입니다 이사는 진행하고 임차권 등기가 완료되면 이사간집으로 전입신고+확정일자 받을 예정입니다 만기일 이후 바로 임차권 등기명령과 전세보증금지급명령을 걸 생각이고 최악의 경우 경매 배당금을 생각하고 있습니다. 근데 경매부분에 있어 제가 건물 가액이나 공시지가를 보는 법이 이해가 어려워 경매로 넘어갔을때 얼마정도에 낙찰될지, 그래서 내 보증금을 받을 수 있을지 모르겠는데요, 세이프 홈즈 어떤 서비스이용하면 이러한 부분 알 수 있나요?
![부동산 전세계약 고민상담 전세금 반환 지금 명령과 소송](/asset/img/blog/comment-icon.png)
![부동산 전세계약 고민상담 전세금 반환 지금 명령과 소송](/asset/img/blog/hit-icon.png)
아직 두달채 안되게 오피스텔에 계약해서 살고있는데 갑자기 문자로 퇴거명령이 내려와서 보니 신탁부동산을 끼고 계약한 사실을 알게되었습니다. 계약 당시 중개보조원은 신탁이 껴있다는 얘기도 해주지 않았으며 월세계약서 그어디에도 신탁에 대한 내용은 써있지 않았고 전입신고도 가능하다고 하였습니다. 지금 저희 오피스텔에 저와같은 피해세대만 몇십세대인것 같습니다. 이런 사례를 찾아보니 보증금 받기 힘들다는데 보증금에서 월세가 까일동안 잠깐 몇개월이라도 버텼다가 이사를 가야할것 같은데 괜찮을까요? 물론 명도소송등 들어온다는것은 알고있으나 2~3개월 정도는 괜찮지않을까해서 올려봅니다 ㅠㅠ
![부동산 전세계약 고민상담 신탁 월세 사기인가요](/asset/img/blog/comment-icon.png)
![부동산 전세계약 고민상담 신탁 월세 사기인가요](/asset/img/blog/hit-icon.p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