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민상담
첫세입자안녕하세요. 최근에 아파트전세를 가계약하고 왔는데 궁금한게 있어서요. kb시세 조회 결과 아파트 매매가 평균은 1억 9천이었고, 등기사항전부증명서 확인했을 때 근저당은 없는 매물이었어요. 그러면 보증보험 보장 금액 계산법은 1억 9천*(90%)-채고최권액이니 1억 7100만원까지는 가입이 되는게 맞나요?
- 1
- 355
다음 글📖
- 월세도 사기가 많을까요?
보증금 5000만원 집으로 들어왔는데, 서울시 최선순위임차보증금액이 3400만원 까지더라구요 월세의 경우에도 1600만원이 위험한 상황이 올수있을까요?
안녕하세요, 전세 대출 질문하려고 합니다.월세, 전세 중에 고민하다가 뭐가 더 이득일까 고민이 되어서 이렇게 질문을 남깁니다.서울에 2년간 자취를 하게 되어서 2년간 살 집을 구해야하는데현재 자본금은 3천만원이 있고, 대출은 없습니다. (작년 원천징수 6700만원)월에 평균적으로 360 정도를 벌고있고, 월세는 60을 마지노선으로 생각중입니다.이 경우에, 월세와 전세중에 어떤게 더 좋을까요?사회초년생에게 설명과 함께 삶의 지혜를 부탁드립니다..
안녕하세요. 최근에 아파트전세를 가계약하고 왔는데 궁금한게 있어서요. kb시세 조회 결과 아파트 매매가 평균은 1억 9천이었고, 등기사항전부증명서 확인했을 때 근저당은 없는 매물이었어요. 그러면 보증보험 보장 금액 계산법은 1억 9천*(90%)-채고최권액이니 1억 7100만원까지는 가입이 되는게 맞나요?
👆 보고 있는 글
내 전세금으로 근저당 소멸되는 조건으로 집 들어가신 분 있나요?근저당 1억7천 있고 추정시세는 2억2천 전세가는 1억8천이고 청년버팀목대출가능한데 허그안됨 이 상태인데 집주인분이 청약 당첨된 젊은 분이라 사기칠 것 같진 않고 그러네요..
전세 계약 연장 계약시 확정일자를 다시 받아야 하나요?보증금 감액이나 가액은 없으며, 신규 계약서를 작성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