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민상담
010-****-9625아니면 필요없나요? 필요없어도 뽑아서 전꺼랑 현재꺼 둘다 보관하는것도 안되나요?
1
71
다음 글📖
혹시 임대인이 매매한다는 내용이 전세 재계약을 원치 않는다는 의미인가요? 저는 임차인입니다 지금 상황은 24년 9월에 전세 2년 계약이 만료였고 그 전엔 임차인이 매매로 내놨다는 얘기를 해서 새로운 매매자가 실거주 하면 어쩌나 불안해하며 기다렸습니다 그 상태로 아무 얘기도 없이 9월인 계약만료가 지나갔고 묵시적 연장이라고 생각하고 살았는데 갑자기 25년 2월에 집주인이 실거주 목적으로 나가달라고 합니다 현 상황이 묵시적 연장으로 2년 계약이 된것이 맞을까요? 저도 권리가 있나요 나가야하는 상황인가요?


은행에 넘어가도 계속 살면되는거죠? 쫒겨나지는않나요?


아니면 필요없나요? 필요없어도 뽑아서 전꺼랑 현재꺼 둘다 보관하는것도 안되나요?


👆 보고 있는 글
1. 전세 아파트를 구하던 중 부동산에서 전세 매물을 보여줬습니다. 2. 마음에 들었고 다음날 부동산 전화와서 다른손님이 보러간다면서 가계약금을 입금요청 받았습니다. 3. 일중이여서 입금안하고 있는데 재차 입금 해달라고해서 가계약금을 입금했습니다. 4. 가계약금 입금하니 계약서 보내주며 매물, 매물보증금(가계약금 포함) 계약일 , 잔금예정일 등 써서보내주면서 임대인은 배액배상책임, 임차인은 계약금을 포기함으로써 계약을 해지 할 수 있다는 내용의 계약서를 보내줬습니다. 답변안했구요 5.가계약금 입금하고 난 후에 알게됬는데 집주인분은 집을 매매할거라서 전세기간중에도 집을 계속 보여줘야 한다고 합니다. 당연히 보여줘야겠지만 매번 스케줄 맞춰 집에있어야 하는것도 싫고 주말에도 그래야한다고 생각하니 계약하기 싫어졌습니다. 실제주인과 만난적없고 다음주에 계약예정이였는데 가계약금을 돌려받을 수 있을까요?


전세집을 찾아보는데 마음에드는집 전 세입자가 중도퇴실한 방이라고 하네요. 현재 큰짐을 다 빼놓고 잔잔바리짐만 놓여져있는상태인데 왠지 꺼름직해서요. 짐 일부를 남겨둔것도 임차권유지를위해 남겨둔거같고... 보통 중도퇴실한 전세집은 다음 세입자들이 저처럼 꺼려하나요? 아님 제가 괜히 예민하게 반응하는건가요? 보증보험 가입가능한집입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