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민상담
010-****-62766천 40만원 반전세 입니다. 전세보증보험 가입하려고 합니다! 1.공시지가 사진1 79,300,000*1.26=99,918,000 보증금이 6천이니까 범위 안 에는 들어간 거 같아요. 2. 건축물 대장 사진2,3 저는 3층 이지만 근린생활시설이 끼어있어서 전세보증보험이 가입이 불가능 할까요? 3.등기 사진4,5 현재는 B의 증여로 인해 A가 15분의 3, C가 15분의 4, D가 15분의 8을 갖고 있는 거 같습니다. 현실적으로 제가 계약을 할 대상자는 현재 건물에 거주중이 A,C와 할거 같은데 A,C의 지분은 15분의 7로 과반을 못넘기에 과반인 D와 직접 계약을 하거나 D의 대리인 위임장이 필요한 거 맞나요? 하다 못해 전화통화라도 해야하나요? 4.다세대 주택인데 건물주가 모두 같다. 사진6 혹시나 해서 302호 등기부 등본을 때 봤는데 301호 등기와 똑같더라구요. 추측건데 A,C,D 3분이 집주인 같은데... 이러면 다가구와의 차이점이 뭐죠? 그럼 다른 등기도 다 때보고 근저당이나 특이사항을 확인을 해야 하나요? 혹시 놓친게 있는지, 알아야 할게 있는지 알려 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요약 1. 전세보증보험 가입이 가능한 안전한 집 OR 뒤도 돌아보지 말아야할 위험한 매물 2. 현실에선 공유자 지분의 경우 누구와 계약을 어떻게 진행해야 하는지 3. 다가구같은 다세대 주택 주의사항이 무엇인지
1
177
다음 글📖
기존 등기부등본 조회, 건축물 대장 조회, 전세사기안심리포트를 종종 결제해서 봐왔는데요. 이 서비스들은 사라진걸까요?
6월 19일(금)날 이사일이었는데 잔금을 치르고 나서 너무 바쁜 나머지 전입신고를 늦게 했습니다. 6월 20일(토) 오늘 온라인 신청했지만 결재 자체는 월요일일 것으로 예상됩니다. 확정일자의 경우 대출 심사 전 확정일자를 받은 서류를 제출해야 한다고 해, 5월달에 "주택 임대차 계약 신고필증"을 발급받았는데요. 자꾸 확정일자와 전입신고를 묶어 말하는 글을 보니 제가 받은 신고필증이 확정일자가 아닌 것 같습니다. 월요일~화요일은 해외출장이 있어 주민센터 방문은 수요일에나 가능할 것 같습니다. 문제는 제 은행이 HF 공사 보험과 연계되어있고 보험에서 하루만 전입신고가 늦어도 의무를 이행하지 않았다고 보고 보험보증을 이행하지 않는다는 걸 제가 늦게 알았습니다. 하물며 저는 3일, 어쩌면 5일 정도까지 늦을 것으로 보이는데 이 상황을 어떻게 해결하면 좋을까요?
6천 40만원 반전세 입니다. 전세보증보험 가입하려고 합니다! 1.공시지가 사진1 79,300,000*1.26=99,918,000 보증금이 6천이니까 범위 안 에는 들어간 거 같아요. 2. 건축물 대장 사진2,3 저는 3층 이지만 근린생활시설이 끼어있어서 전세보증보험이 가입이 불가능 할까요? 3.등기 사진4,5 현재는 B의 증여로 인해 A가 15분의 3, C가 15분의 4, D가 15분의 8을 갖고 있는 거 같습니다. 현실적으로 제가 계약을 할 대상자는 현재 건물에 거주중이 A,C와 할거 같은데 A,C의 지분은 15분의 7로 과반을 못넘기에 과반인 D와 직접 계약을 하거나 D의 대리인 위임장이 필요한 거 맞나요? 하다 못해 전화통화라도 해야하나요? 4.다세대 주택인데 건물주가 모두 같다. 사진6 혹시나 해서 302호 등기부 등본을 때 봤는데 301호 등기와 똑같더라구요. 추측건데 A,C,D 3분이 집주인 같은데... 이러면 다가구와의 차이점이 뭐죠? 그럼 다른 등기도 다 때보고 근저당이나 특이사항을 확인을 해야 하나요? 혹시 놓친게 있는지, 알아야 할게 있는지 알려 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요약 1. 전세보증보험 가입이 가능한 안전한 집 OR 뒤도 돌아보지 말아야할 위험한 매물 2. 현실에선 공유자 지분의 경우 누구와 계약을 어떻게 진행해야 하는지 3. 다가구같은 다세대 주택 주의사항이 무엇인지

👆 보고 있는 글
이사가는 상황에서 저는 7/1 이사날짜고, 새로운 임차인이 7/25인 상황에서 제가 보증금을 돌려받지 못한 상태라 전입 신고를 7/25일 잔금을 받고 하려고 하는데 괜찮은가요? 찾아보니 버팀목대출 같은 경우 한달이내 전입신고 하면 된다고 되어있더라구요
(용어가 맞는지는 모르겠습니다만) 공시지가 변동으로 인해 일주일 사이에 계약을 세번째 다시 하고 있습니다. 보증보험 가입을 위한 보증금 재조정으로 인해서 계약을 다시 하게 되었습니다. 처음 보증금보다 결과적으로 300만원정도 낮은 보증금으로 계약하게 되긴 했는데 이런 경우가 흔한가요? 혹시 추후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나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