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민상담
010-****-0250안녕하세요. 2021년 12월 30일에 전세계약을 하고 2023년이 되기 전에 구두계약으로 2년 계약 연장했습니다. 따라서 계약상으로는 2025년 12월까지 전세계약이 된 상태입니다. 제가 도중에 다른 지역으로 이사하게 되었는데 계약 도중에 보증금을 돌려받을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집주인 분에게는 2024년 12월 30일 쯤에 곧 집을 나갈거고 보증금을 돌려달라고 했습니다. 구두계약한 상태라서 따로 문서는 없습니다. 또한 지금 전세계약한 집에 짐을 모두 뺀 상태인데 제가 전기세, 관리비 등을 집주인분에게 줘야하는지 궁금합니다.
1
29
다음 글📖
비정규직으로 1년 (3.3%) 일하고 올해1월부터 정규직전환으로 1월부터 4대보험적용 월급 4대기준 300만원 정도 실월급 480-520(세전) 신혼부부7년이하 1주택(남편) Kcb 699점 나이스824점 입니다 ㅠ 카드롣대출2천정도있구요 미납체납없어요. 전세대출을 받으려하는데 이런걸 하나도 몰라서요ㅠㅠ 현사대보험1월부터 들어서 3개월 넘었구요ㅠ..ㅠ 2억4-5천 전세집보는데 은행대출이 나오는지 안나오는지 집을먼저알아보고 은행대출알아봐여하는데 대출을 먼저 알아조고 집을 알아봐야대는지.. ㅠㅠ 전세대출어떻게해어할지..


1. 민간임대 예비신혼부부 전형 당첨이 되었습니다. 2. 현재 거주 중인 집 계약 중도해지를 해야하는터라 대항력 유지를 위해 계약자인 제가 민간임대 아파트에 당장 전입이 불가할 것 같습니다. 3. 민간임대 입주일에 배우자만 먼저 전입신고+확정일자를 받은 후에 저는 현재 집 보증금을 돌려받은 후에 전입신고를 하더라도 대항력이 유지되나요? *민간임대 입주일을 25년 7월 말, 현재 집은 반전세 계약으로 26년 4월 만료입니다.


안녕하세요. 2021년 12월 30일에 전세계약을 하고 2023년이 되기 전에 구두계약으로 2년 계약 연장했습니다. 따라서 계약상으로는 2025년 12월까지 전세계약이 된 상태입니다. 제가 도중에 다른 지역으로 이사하게 되었는데 계약 도중에 보증금을 돌려받을 수 있는지 궁금합니다. 집주인 분에게는 2024년 12월 30일 쯤에 곧 집을 나갈거고 보증금을 돌려달라고 했습니다. 구두계약한 상태라서 따로 문서는 없습니다. 또한 지금 전세계약한 집에 짐을 모두 뺀 상태인데 제가 전기세, 관리비 등을 집주인분에게 줘야하는지 궁금합니다.


👆 보고 있는 글
등기부등본 결제를햇는데요 어디서 확인할수잇나요?


안녕하세요. 저는 지금 보증금 1000 만원에 월세를 살고 있습니다. 제가 갑작스럽게 전세로 이사를 해야 해서 지금 살고 있는 집 주인 분 한테는 삼 주 정도 뒤에 이사를 가야 할 것 같다고 말을 했어요. 계약 만료 한 달 전에 먼저 나가는거라 한 달 월세는 그대로 지급을 할 거구요. 제가 급하게 나가는 거 기도하고보증금에 대해서 여쭈어 보기가 어렵네요. 이사 나가는 곳은 전세라. 28일에 바로 전입을 해야 하는데 저는 지금 월세는 29일에 이사예정이라 하루 전에 전출을 먼저 하는 게 되는 거죠. 만약 이렇게 전출을 먼저 했는데 보증금을 못 받게 되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그렇다고 전세 보증금이 훨씬 큰데 거기를 전입 안 하는 것도 심란 하구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