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민상담
010-****-0254전세 사고가 일어나 보증보험으로 반환후 집주인(임대인)에게 끼치는 영향을 알고 싶습니다. 오늘 임차권등기 신청했는데요 너무 뻔뻔해서요 임대인 신상에 전세사고 이력이 남는다든가 앞으로 또 부동산에 손댈때 패널티가 생기는지 궁금합니다.
1
36
다음 글📖
전세집 살고 나가는데 100-200만원 빼고 전세보증금을 돌려줬다가 보름있다가 집상태보고 고칠게 있으면 고치고 돌려쥰다는데 그런법이 오데있습니꺼?


아파트 전세 2년 살고 5%올려달라해서 추가 계약서 작성하려고 합니다.(2천만원 정도) 기존 계약서는 1순위 유지되고 있기 때문에 건들고 싶지 않습니다. 하도 세상이 험하다보니... 증액된 금액에 대해서만 추가 계약서 작성하고 확정일자 추가로 받으면 될까요? 추가된 금액에 대해 계약서를 쓸 때 꼭 넣어야하는 내용은 어떤 게 있을까요? 기존 계약서에 대해 추가된 금액이라고 적어야 하나요?


전세 사고가 일어나 보증보험으로 반환후 집주인(임대인)에게 끼치는 영향을 알고 싶습니다. 오늘 임차권등기 신청했는데요 너무 뻔뻔해서요 임대인 신상에 전세사고 이력이 남는다든가 앞으로 또 부동산에 손댈때 패널티가 생기는지 궁금합니다.


👆 보고 있는 글
안녕하세요. LH청년전세임대 상품 사용하여 집을 좀 구해보고 있습니다. 부동산 관련 카페, 사이트 여러 군데 살펴보는 중입니다. 아무래도 지역, 여러 옵션, 가격 모든 것을 맞출 수는 없어서 최대한 연식이 된 집을 택하여 크기를 좀 챙기고 있습니다. 몇 군데 마음에 드는 곳을 찾았는데, 반전세로만 받으시거나 전세금이 너무 높거나 하는 경우가 있더라구요. 혹시 중개인에게 집주인분께 요청해서 전세금을 조금만 낮춰줄 수 있는지 이런 문의를 해볼 수 있나요? 이쪽 암묵적인 룰이나 매너 이러한 것들에 대해서 잘 몰라서 문의 드려봅니다.


2022년 완공된 신축 다세대 건물로, 2층-6층은 오피스텔 7층-10층은 다세대주택으로 등록되어있습니다. 제가 원하는 층은 7층입니다. 해당 매물 집주인이 4억2천에 매매하였는데 현재 시세가는 3억5천 3억8천 입니다. 집주인들이 다르다보니 매매가가 호수마다 상이한건 알겠으나.. 시세가가 떨어져서 나중에 보증금을 반환받지 못할것이 두렵습니다. 전세가는 2억9천입니다. 허그버팀목전세대출 +보증보험 가입 할 예정입니다. (가능하다고 안내받음) 여기서 궁금한건, 1. 해당 매물을 실제 4억2천에 매매하였으나 시세가 3억5천(최저가) 이 추후 깡통전세 위험성에 영향이 있을까요? 2. 허그대출 + 보증보험 가입 시, 보증금 반환 금액이 궁금합니다. 해당 매물 전세가 총 2억9천 입니다. (2억 대출 , 9천 자본) 2억9천 전액 다 반환 받을 수 있는건가요??? 아니면 대출금액인 2억만 받을 수 있는건가요??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