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민상담
010-****-7428대출가입이 가능한지는 어디서 확인하나요?
2
342
다음 글📖
지방아파트 전세를 구하고 있는데, 보고있는 매물은 매매가 2.1억에 집주인이 내놓은 상태고 전세가는 1.7억입니다. 최초분양시 설정된 근저당이 1.4억 있으며 이를 말소하는 조건으로 전세계약 하려합니다. 지방에 살면서 대출없는 집만 계약하다보니 이런 계약형태가 걱정이되네요. 알아보니 전세보증보험 가입이 가능하고, 수도권은 대출낀 집이 대부분이라 이런 거래형태가 많다고 하는데 걱정되는부분은 1.전세보증 사고시 보증보험 이행청구절차가 피곤하고 꽤 오래 걸린다는점 2.집 주인이 매매도 내놓았는데 안팔리고있고 갭도 작아서 나중에 보증금을 임대인에게 못받을 수 있다는 추정(보증보험으로 돌려받긴하겠지만) 3.향후 집값 상승이 어려울것으로 보이는 단지 대안으로는 1. 현금 영끌하여 전세 2.7억의 대출없는 2. 길가 중저층이라 좀 시끄러워 아기키우는데 불편함이 있을것 같은 전세 2.3억 매물 3.월세 2000에 70~100 갑자기 집을 구하게되었는데 생각보다 매물이 없고 전세가 월세로 바뀌는 추세다보니 고민이 많네요ㅜ
보증금 3억 5천에 전세로 가계약한 상태이며 등기부 등본상 근저권 설정은 없는데 중간에 집주인이 변경될 가능성이 있다고 하시네요, 근데 괜히 불안하고 찝찝해서 보증보험을 가입할려고 하니 주위에서 굳이 안해도 된다고 하시는데 진짜 안해도 될까요?
대출가입이 가능한지는 어디서 확인하나요?
👆 보고 있는 글
저번에 어플깔고 마케팅 동의했다가 모르는 개인휴대폰번호로 전국에서 분양 보러오라고 전화오는데 짜증나니까 안오게 조치해주세요 플랫폼에서 제 번호 없애주시길 ㅎㅎ
안녕하세요, 7월 중순에 신규 전세계약으로 이사갈 예정인 30대 남자입니다. 잔금은 9월 말로 약 3달의 입주 전 여유 기간이 남아있는 상황인데, 잔금날 바로 입주가 아닌 전 거주자의 이사전 대기일(1일)과 거주자 이주 후 임대인의 전세계약집 인테리어를 위한 기간(3~4일)의 추가 기간이 소요된 후 입주할 예정입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제가 잔금 후 사기라든지, 기간이 늦춰지는 것에 대한 보상을 받기위해 어떤 특약을 추가하는것이 좋을 지 조언 부탁드립니다.
